출입자 기록부·기록보관 현황 등 관리
전국 최초로 수사기록에도 무선 전파 식별 장치(RFID)가 부착된다.
대구대 유비쿼터스신기술연구센터(센터장 김희철)는 대구지방검찰청 서부지청 수사기록에 RFID 태그를 부착해 출입자기록부, 기록보관현황, 대출부 등을 관리자가 웹을 통해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오는 12일 시연회를 갖는다고 밝혔다.
검찰에 수사기록에 RFID 기술 도입과 행정 업무전반에 RFID 를 도입한 것은 검찰과 행정기관 가운데 전국 처음이다.
시연회에선 RFID 기술을 검찰 업무 전반에 걸쳐 활용하는 시스템인 RFID 기록관리 시스템에 따른 태그 부착, 무인대출·반환, 기록 검색 및 점검, 제한구역 출입자 보안 시스템 가동, RFID 초과근무 시스템 등이 선보인다.
RFID 부착으로 대구지검 서부지청에서는 사건번호만 입력하면 수사기록 보관위치, 보존기한 등의 정보는 물론 기록물의 보존 및 대출반납 상황도 즉시 파악할 수 있다.
무인대출 반납기를 통해 기록물을 출납할 수 있어 시간 및 인력 단축과 수작업으로 해오던 출입자 기록, 대출 기록 등이 전산 관리된다.
이춘수기자
◆RFI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해 사물을 인식, 추적, 통제할 수 있는 기술이다. RFID는 리더기(reader)와 태그(tag)로 구성되는데 태그는 개별 사물에 부착되는 정보를 집적하고 있는 초소형 칩이며, 리더기는 무선라디오 주파수로 태그를 식별, 판독하는 장치다.
댓글 많은 뉴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