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명으로 전담반 구성…내년 7월부터 상시 활동
대구시가 고질화된 불법 주·정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년부터 전담단속반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그동안 구·군에 모두 맡겼지만 이제 한계에 이른 만큼 시가 직접 나서겠다는 것. 서울과 대전, 인천시가 이 제도를 이미 시행해 큰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도 제도 도입의 배경이 됐다.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의 도로 기능은 불법 주·정차 때문에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중심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지난해 대구 도심의 시내버스 통행속도는 시속 18.4km로 승용차(24.9km)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서울은 같은 기간 시내버스의 통행속도가 시속 17.9km로 승용차(14.4km)보다 빠른 것으로 조사됐으며 부산도 승용차(21.1km)보다 시내버스(25.8km)가 빨랐다.
또 불법 주·정차 차량 단속 업무가 전적으로 구·군에서 이뤄지면서 장비와 인력, 단체장의 의지 부족 등으로 실적이 감소하는 등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것. 대구의 단속 장비는 차량 1천대당 4.16대로 서울(8.19대)의 절반, 단속 인력은 차량 100대당 2.2명으로 서울(11.6명)의 20%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공무원이 근무하지 않는 공휴일이나 주말에는 예식장 등 특정지역의 불법 주·정차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자치단체간 경계지역이나 관문도로 등에서도 단속 활동이 미흡한 것으로 대구시는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불법 주·정차 단속 전담조직을 구성, 취약 시간대와 취약 지역을 모두 책임지는 상시 단속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전담조직은 비전임계약직 210명(시 50명, 구·군 각 20명)과 교통서포터스 50명으로 구성, 내년 7월부터 가동할 계획이다. 시는 버스전용차로와 간선도로 중심으로 단속을 펼치고 구·군은 이외의 지역에서 단속활동을 펼친다.
한편 불법 주·정차 단속 전담조직으로 서울시는 720명으로 구성된 'Hi 서울교통순찰대', 대전시는 단속인력 200여 명으로 'It´s Daejeon'을 가동하고 있다. 인천시도 120명의 단속 인력으로 전담단속반을 운영하고 있다.
김교성기자 kg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