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 속에서 노년 이혼이 놀랄만큼 급증,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1일 통계청의 '2007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7월 현재 65세 이상 노인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9.9%(481만명)에 달한다. 10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이다. '人生七十古來稀(인생칠십고래희)'는 사전에서나 찾아볼 시대가 됐다.
이런가운데 이른바 '황혼 이혼'의 급증이 우리 마음을 무겁게 만든다. 지난 해 65세 이상 노인의 이혼은 여성 노인이 1천251건으로 10년전보다 6.3배나 늘었고 남성 노인은 3천87건으로 4배 늘었다. '황혼 이혼'이란 신조어가 일본에서 건너온지 불과 10여년만이다.
왜 인생의 말년에 굳이 이혼까지 했어야 했을까. 우리 사회가 노년 가정 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해 볼 때이다. 노년기 이혼은 신혼 이혼 등 젊은 부부들의 충동적 이혼과 달리 오랜 세월 쌓인 불신과 분노가 한꺼번에 터져나온 경우가 대부분이다. 표면적으로는 가정을 유지해 왔지만 실상은 금이 간 '위기의 가정'이 그만큼 많다는 말이다. 특히 여성 노인쪽에서 이혼을 제기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뿌리깊은 가부장적 가치관에 대한 반기이자 재산분할 등 이혼시 여성에 대한 경제적 보호 법제화가 많은 여성 노인들로 하여금 '이제라도 내 인생을 살겠다'는 생각을 갖게끔 하는 것이다.
2000년에 고령화 사회(65세 인구 7.2%)에 들어선 우리 사회는 2018년에는 고령사회(14.3%), 2016년에는 초고령사회(20.8%)에 이를 전망이다. 노인 가정의 안정이 사회적 안정으로 이어지는 시대가 됐다. 더 늦기 전에 노인 가정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대비책을 세울 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