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정아 背後의혹 당사자들이 나서라

입력 2007-08-28 11:51:33

가짜 학위 파문을 일으킨 신정아 씨와 관련한 의혹들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동국대 교수직과 광주 비엔날레 총감독직을 맡게 된 과정과 신용불량자 신분이면서도 비교적 여유 있는 생활을 해온 배경까지 의문투성이다.

미모의 여성은 지난 2월 동국대 재단이사였던 장윤 스님이 가짜 학위를 처음 언론에 폭로한 이후 시중 입방아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다 최근 한갑수 전 광주비엔날레 재단이사장이 지난달 8일 변양균 청와대 정책실장을 만난 장윤 스님이 돌연 태도를 바꿔 신 씨의 비엔날레 총감독 선임을 두둔했다고 증언함으로써 권력층의 비호 의혹이 수면에 떠올랐다. 급기야 권력형 비리 의혹으로 확산된 것이다.

변 실장의 비호 의혹이 제기된 직후 장윤 스님은 잠적했다. 당초 장윤 스님 측은 신 씨의 동국대 교수 채용에 권력층의 압력이 있었음을 시사해왔다. 외부의 힘이 작용해서 해당 학과에 부적합한 신 씨를 다른 교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채용했다는 것이다.

변 실장은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채 관련 의혹들을 부인했다. 오영교 동국대 총장도 신 씨와 변 실장 관련설을 부인했다. 그리고 청와대 대변인은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렇게 해서 풀릴 일이 아니다. 권력자의 비호 없이 신 씨가 혼자 힘으로 그렇게 활개 칠 정도로 만만한 사회가 아니지 않은가.

변 실장을 비롯, 관련설에 휘말려 있는 사람들이 직접 나서서 사실을 밝히는 것이 순리다. 변 실장을 대신한 청와대 대변인의 발언은 뜬금없는 모양새다. 법적 대응을 소리치지 않아도 검찰의 수사가 진행 중이다. 결국 진실은 검찰이 밝혀야 한다. 가짜 학력과 권력층의 비호, 커넥션이 통할 수 없다는 사실을 교훈으로 남겨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