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신당 후보 청문회는 계획 없어
범여권과 민노당의 대선후보 경선 레이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으나 후보검증과 관련한 제도가 도입되지 않을 전망이다. 대통합민주신당을 비롯해 민주노동당과 민주당은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것을 경선의 최고 목표로 두고 있다. 따라서 한나라당만큼 자체적 후보검증은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6일 경선 룰을 최종 확정한 대통합민주신당 경우 다음 달 5일까지 치러지는 예비경선을 위해 두 번의 토론회를 확정했고 10월 14일 본선에 앞서 8개 권역별 순회경선을 실시한다. 하지만 한나라당처럼 외부인사가 참여한 검증위원회를 구성해 청문회 방식으로 진행되는 '후보자 인사청문회' 제도는 포함돼 있지 않다. 한나라당 경선 때 검증부실을 공격했던 태도와는 다르게 자신들의 경선에서는 검증을 쏙 빼버린 셈.
지난 20일 제주도를 시작으로 대선 후보경선 레이스에 돌입한 민노당 역시 다음달 10일인 결선일까지 11차례의 지역 선출대회가 예정돼 있지만 서로에 대한 검증 문제는 거론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정을 살펴보면 후보자들의 각 지역 기자회견이 전부여서 후보자들의 치열한 검증보다는 정당 이념과 정책을 부각하는 게 우선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도 사정은 마찬가지. 오는 29일까지 후보등록을 거쳐 10월 8일 대선후보를 선출할 계획이지만 이번 경선의 최대 목표는 국회의석 9석의 미니정당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경선흥행에 성공을 거둘지 여부이다. 따라서 검증문제는 '뒷방' 신세로 전락할 전망이다.
이 같은 범여권의 '검증 없는 경선'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신당 이목희 국민경선관리위원장은 최근 "우리 후보들은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부동산 의혹처럼 치명적 결격사항이 있다고 보지 않는다."며 검증에 무게를 두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한나라당 나경원 대변인은 "(여권은) 대선후보 경선마저 국민 기만적인 '동원' 경쟁으로만 진행하고 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가 모두가 기만적"이라고 비판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