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관 10돌 독도박물관 이승진 관장

입력 2007-08-13 07:31:37

"국내 유일 영토박물관…역사의 교육장"

독도박물관 개관 10주년을 맞은 울릉군 독도박물관의 이승진(52) 관장은 13일 "독도를 지켜온 후예들의 삶의 터전인 울릉 현지에서, 독도가 한국 땅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보여 주는 고문서 자료가 가장 많은 박물관을 맡고 있다는 데 자부심을 느낀다."고 했다.

이 관장은 고(故) 이종학 초대 관장에 이어 2002년부터 이 박물관의 2대 관장을 맡고 있다.

"일본의 몰역사적 억지 주장에 시달리면서 이를 논박할 수 있는 독도 영유권에 관한 사료 정리와 이론적 토대를 확고히 할 필요성이 박물관 건립으로 이어졌지요. 국내 유일의 영토박물관으로서 독도의 정치, 경제, 군사, 학술 등 다양한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일깨우는데 크게 기여해 왔습니다." 이 관장은 독도박물관의 의의를 높이 평가했다.

독도박물관은 1995년 광복 50주년을 맞아 울릉군이 대지 제공과 운영을 담당하기로 하고, 삼성문화재단이 80억 원을 들여 건물과 전시시설을 기부해 건립됐다. 고 이종학 초대관장이 독도 관련 고지도 등 자료 555점과 각종 사료 1천300여 점을 기증하기로 약정, 박물관이 개관할 수 있는 틀을 갖춰 1997년 8월 8일 개관한 것. 여기에다 1950년대 민간인 신분으로 독도를 일본 세력으로부터 지켜온 독도의용수비대 고(故) 홍순칠 대장의 유품과 의용수비대동지회 및 푸른독도 가꾸기모임 등에서 제공한 자료도 자랑스런 전시품목이라고 이 관장은 말했다.

박물관에는 서기 512년부터 1900년까지 한·일·러시아의 독도 자료와 고지도, 문헌이 소장 전시돼 있는데 특히 1800년대 독도를 조선 영토로 표기한 일본 측 지도와 자료들이 독도 영유권에 대한 분명한 답을 주고 있다고 소개했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망발이 없어질 때까지 독도의용수비대 가족·지역민들과 함께 고서적 문헌에 기록된 '조선해 찾기 운동'을 위해 박물관을 온 국민의 역사교육장으로 발전시켜 나가겠습니다."

이 관장은 특히 초대 박물관장이 학문적으로 주장해온 '동해는 방위개념, 조선해가 우리 바다'에 대한 사료 정리와 이론적 토대를 확고히 하고 관련 자료를 발굴, 연구해 앞으로 민족의식 고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 독도를 4차원 입체영상으로 체험하는 시설을 마련해 관람객들 관심을 높여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소장하고 있는 2천여 종의 각종 사료 중에 일반인에게 전시하고 있는 품목은 250여 점으로, 앞으로 더 많은 자료를 공개할 계획이라고도 했다.

울릉·허영국기자 huhy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