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사업주체 예산확보 갈등 불가피
산업자원부와 대구시가 제3단계 지역산업발전로드맵(RIRM·2008~2012년) 예산규모를 업계 요청액보다 크게 줄어든 2천400억 원으로 합의, 사업예산 배정을 두고 업계와 추진기관들에 갈등과 첨예한 이해대립 조짐이 일고 있다.
시는 섬유, 메카트로닉스·나노, 모바일, 전통생물 등 5개 지역산업진흥사업에서 업계 등으로부터 섬유 4천300억 원을 비롯, 1조 2천억 원을 요구받은 상태다.
하지만 정부가 인프라를 배제하고 연구개발(R&D) 중심의 3단계 사업방침을 확정함에 따라 산자부와 시는 2천400억 원 규모로 3단계 계획을 추진키로 했다는 것.
이는 2단계 4천203억 원의 절반 규모인데다 이마저도 기획예산처가 일부 삭감하는 것이 관례여서 5개 부문별 사업주체들은 '치열한 예산 확보전'을 치러야 할 입장이다. 이에 대해 관계자들은 "절대액이 부족해 발언권이 센 기관이나 전문가 중심으로 3단계 사업이 짜이거나, 고용이나 효과측면은 고려하지 않은 채 졸속으로 사업이 확정될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게다가 특정사업은 하드웨어, 기술지원사업, 소프트웨어 등 사업간 배분문제를 두고 기관·업체·참여 전문가 간 힘겨루기가 이미 진행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들을 고려, 시와 추진기관 등은 3단계 사업계획을 확정시한인 6월 말까지 기본 계획만을 확정해 정부에 제출하고 분야별 사업항목 선정과 예산배정은 7월부터 새로 협의·조정하기로 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