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영제 시행 1년이 넘었지만 시설 인프라는 별반 달라진 게 없다. 대구시가 운송적자를 완전히 보전해주기 때문에 버스회사마다 '시설에 투자하면 손해'라고 생각하기 때문. 대구시도 각 업체에 대한 각종 지원금 부담에 허덕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능형 첨단 교통시스템도 방대한 자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도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CNG(압축천연가스) 충전 때문에 결행?=경산에 종점을 둔 한 버스회사의 운전기사는 "CNG 충전 때문에 하루 한 차례는 결행이 생길 수밖에 없다."며 "충전소로 오가는데 30분 이상 소요돼 결행이 불가피한데 회사나 대구시에서도 이 사실을 알고 있지만 어쩔 수 없는 걸 알기 때문에 봐주고 있는 형편"이라고 털어놨다.
이처럼 CNG 충전소가 태부족해 공차 운행 및 결행이 잇따르고 있다. 현재 대구 시내버스 1천633대 중 CNG 버스는 57.2%인 861대로 환경부 시책에 따라 대구시는 2010년까지 시내버스의 90% 이상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충전소는 이동식까지 포함해 모두 10곳밖에 되지 않는데다 대부분 도심 외곽 지역에 흩어져 있어 연료가 떨어질 때가 되면 종점이 아닌 충전소로 가야 한다.
현 운행노선대로라면 일부 CNG 버스의 경우 하루 3, 4차례 노선을 운행한다고 가정할 때 이틀에 3번 정도 충전을 해야 해 결행이나 공차 운행이 불가피하다. 특히 이 때문에 냉·난방기를 가동하는 계절엔 연료부족 사태까지 발생, 승객 불편이 더욱 늘어난다.
이와 관련, 대구시 관계자는 "앞으로 충전소를 4, 5곳 정도 더 설치하면 연료 공급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했지만, 한 버스회사 관계자는 "CNG 버스가 점차 확대 보급되고 있는 만큼 현실적으로 각 노선에 최소 충전소 한 개씩은 필요하다."고 했다.
◆시설 투자 없다=17일 오후 대구 동구 대구공고네거리. 다산에서 출발한 650번 시내버스 2대가 회차 지점인 이곳 대로변에 정차해 있었다. 운전기사들은 잠시 인근 식당의 양해를 얻어 화장실을 이용했다. 회차지는 장거리노선을 운행하는 운전기사들이 운행간격을 맞추기 위해 잠시 정차하거나 생리현상을 해결하는 곳. 한 운전기사는 "대부분 회차지에 화장실이 없어 병원, 식당 등 닥치는 대로 빌려쓰고 있는 형편"이라며 "준공영제가 시행됐지만 기사들을 위한 복지나 시설은 나아진 게 없다."고 못마땅해 했다.
이에 대구시내버스노조는 각 시내버스 노선별 회차지 실태를 조사한 결과 화장실이 꼭 필요한 9곳에 대해 대구시와 업체 측에 시설을 요구하고 있다. 게다가 휴게소가 없는 버스 기·종점 중 35개 노선에 33곳의 휴게소 설치를 요구하고 있지만 감감무소식이라는 것. 또 다른 운전기사는 "만약 주말에 화장실을 잠가 놓거나 식당이 문을 닫게 되면 어쩔 수 없이 길에서 생리문제를 해결할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그래도 예산은 늘어간다?=시내버스의 서비스 개선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버스운영관리시스템(BMS)'도 여전히 애물단지다. 대구시는 62억 원을 들여 버스의 실시간 이동 경로, 운행시간 및 간격, 결행, 승강장 무단통과 여부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지만 이런 방대한 자료를 서비스 개선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다 시는 올해 39억 원을 들여 정류소에 안내기 200개를 추가 설치하고 버스 내에도 승객용 안내기 1천633대를 내년 1월까지 설치할 계획인 등 활용보다는 시스템 구축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BMS 데이터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시와 버스개혁위원회 등에서 내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내버스 노사 양측은 최근 ▷임금 평균 5.8% 인상 ▷무사고 장려수당 1만 원 인상 ▷표준운송원가 적정이윤 8%p 인상 ▷이윤 지급 방식을 보유대수 기준으로 2년 내 전환 ▷퇴직연금 제도는 확정기여형으로 노사합의 유도 등을 골자로 한 임금 및 단체협약안에 합의, 시내버스에 대한 대구시 예산 부담도 준공영제 실시 이후 2006년 486억 원에서 올해 557억 원, 내년에는 680억 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서상현·김태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