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모바일 등 전자정보산업의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와 전문인력 양성, 산업지원 인프라 구축 등을 목표로 구미 4공단에 조성된 구미 디지털전자정보기술단지가 착공 4년 만에 웅장한 모습을 드러냈다. 구미 디지털단지는 다음달 16일 개원식을 가질 예정이다.
전자정보기술원(가칭)이 관리 운영하는 이 단지는 최근 기공식을 가진 삼성전자 구미기술센터 등 대기업 R&D 센터와 어우러져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떠오를 전망이다.
구미공단은 914개 기업에 7만 8천 명이 근무하지만 모바일(46%)과 디스플레이(35.4%) 분야 대기업 중심의 생산구조이다. 입주기업의 94.5%가 중소기업이지만 생산·수출·고용의 95%는 대기업에 편중돼 있는 것. 이 때문에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단순위탁 및 조립가공을 하도급받는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연구역량 부족으로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와 신규사업 진출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단지 준공으로 대학 연구기관과 중소기업 부설 연구소가 한자리에 모여 모두 600여 명의 연구원이 상주하게 됐고 고가의 최첨단 장비도 구축돼 중소기업들이 R&BD(Research&Business Development·연구사업개발)를 대폭 지원받는 장밋빛 비전을 가질 수 있게 됐다.
수도권에서나 구경할 수 있는 고가 첨단장비의 공동 활용으로 중소기업들은 3분의 2 정도의 비용 절감 및 기술고도화를 꾀할 수 있게 된 것. 삼성전자는 이미 진흥원이 인증한 장비분석 결과를 그대로 인증해 주고 있고, 앞으로 LG 등 다른 대기업들과도 이 같은 협력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업활동과 관련한 정보교류 활성화를 위해 산·학·연 네트워크를 전국으로 확대하면서 이미 20개 기관과 네트워크 양해각서(MOU) 를 체결했고, 123건의 교류 실적을 올렸다.
운영주체인 전자정보기술원은 전자산업진흥원과 전자기술연구소가 통합한 것. 양 기관이 보유한 R&D 노하우·장비 공동활용 및 역할 분담 등으로 시너지 효과는 극대화될 전망이다. 진흥원을 R&D 토양 마련 기관이라면 2004년 3월 전자부품연구원 부설 연구기관으로 구미공단 내에 설립된 연구소는 전자정보 부품소재 R&D 전문기관이다.
남유진 시장은 "구미공단이 단순생산기지에서 R&D 역량을 갖춘 경쟁력 있는 공단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 이라고 평가했다. 박재우 진흥원장은 "중소기업의 R&D 역량 강화에 주력, 단지를 국내 최고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종합지원 핵심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했고, 홍순목 진흥원 경영관리실장은 "삼성전자, LG 등 대기업들의 R&D 센터와 협력해 전자정보산업 연구·개발 인프라를 확대 구축할 계획"이라고 했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연혁
-2000년 정부 지역산업발전 5개년 계획 수립, 구미 디지털전자정보기술단지 조성 확정
-2003년 3월 구미시, 경북도, 산업자원부 공동 출자 (재)구미전자산업진흥원 설립. 사업 예산 865억여 원(국비 298억·시비 211억·도비 100억 원 등)
-2007년 3월 말 기술단지 준공, 5월 초 개원식 예정
◆개요
규모:구미 4공단 내 3만 2천359평 부지 중 1단계로 1만 8천820평 조성
시설:-기술집약형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아파트형 공장인 성장관(1천666평), 진흥관(3천329평), 창업관(1천220평) 등 연건평 6천499평
-디지털 전자산업관, 아파트형 공장 건립 계획
장비:-136억 원 들여 122종의 첨단장비 구축(디스플레이·모바일 산업군에 적합한 소재물성 분석 장비, 신뢰성 평가 장비, 첨단공동계측장비 등)
-올해 내로 62억 원 들여 58종 추가 도입 계획 (모바일 성능측정 및 품질향상 계측시험장비, 전자파 적합 무선기기 형식 시험장비 등)
입주:-경북대 임베디드소프트웨어연구센터, 금오공대 차세대부품소재기술지원센터, 디스플레이 소재 공정기술지원센터, 나노기술집적센터 등 10개의 전자정보산업 연구기관(연구원 200여 명)
-쓰리에이치 비전㈜, ㈜다이나톤, ㈜에스엠텔 등 12개의 중소기업 부설연구소(연구원 400여 명)
주요 사업:-공동활용 연구개발 장비 구축
-산·학·연 R&BD(Research&Business Development·연구사업개발) 클러스터 지원시스템 구축
-전문기술인력 양성
-중소기업 현장 애로 기술지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