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이전 사전 유치운동 파문

입력 2007-04-24 11:00:51

경북도내 일부 지역이 경북도청을 자기 지역으로 옮기기 위한 사전 유치운동에 나서면서 다른 지역의 반발을 사는 등 도청 이전 문제가 벌써부터 과열조짐을 보이고 있다.

24일 경북도와 도의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쯤 '경북도청이전 입지선정 방향'이라는 이메일이 발신자 표시 없이 전국의 경북출신 인사 및 관련 전문가들에 발송됐다. 메일을 받은 사람들은 170여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메일은 경북 동남부권에 경북도청이 이전되어야 한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도청이전지는 정치·정책적 기준이 아닌 경제적 측면에서 선정돼야 하고, 이전 기관 임직원들의 실질적인 이동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도록 항만·항공을 이용하기 쉬운 지역이어야 한다는 것.

이 문건은 이 같은 전제 위에 도내 각 지역 간 비교를 통해 동남부권의 이점을 내세웠다. 경북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구·경북 경제통합의 효과를 극대화할 지리적 요충지가 되어야 하고, 따라서 대구와의 접근성도 높아야 하며, 구체적으로 구미-칠곡-대구-경산-영천-경주-포항-영덕을 잇는 지역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대구와의 접근성에서도 대구와의 이동시간이 얼마인지를 표시하며 동남권의 우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경북도의회는 이런 내용으로 짐작할 때 발신지가 동남권 지역 시·군이며, 발신자 없이 이메일을 보낸 것은 도청이전조례에서 금지하는 과열유치행위에 해당돼 감점이 우려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다른 지역 도의원들은 과열을 우려하고 있다. 도청이전 작업이 시작단계에 불과한데 이같은 일방적 논리로 사전 유치운동을 벌이면 다른 지역의 반발을 불러와 도청 이전 자체가 또다시 무산될 수 가능성도 있기 때문.

박진현(영덕) 도의원은 24일 도의회 임시회에서 "도청 이전 절차를 진행하기도 전에 공정성에 찬물을 끼얹는 개탄스러운 일"이라 지적했다. 그는 또 "경북도는 공정한 절차에 따라 도청이전이 되도록 '경북도와 시·군 및 의회가 함께하는 페어플레이 협약'을 하루속히 체결하라."고 촉구했다.

정경훈기자 jghun316@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