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한 육체는 정신을 더욱 건전하게 한다. 정신이야말로 건전한 육체의 밑거름이 다. 그래서 동의보감에서도 인체에 가장 필요한 세 보물로 정. 기. 신을 들고 있다. 그리고 우리말에도 '정신이 나가다' 느니 '넋이 빠지다' 느니 하여 정신, 넋이 건전치 못하면 육체적으로도 얼마나 건전치 못한 증상들이 나타나는지를 여실히 표현하고 있다.
'간이 콩알 만 하다' 거나 '쓸개 빠진 놈' '심보 사납다' '비위 거스린다'를 비롯해 '허파에 바람 든다' 는 말들은 육체적 여러 증상들이 모두 정신의 건전성이나 불건전성에 의해 좌우되어 나타난다는 것 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기쁨, 노여움, 슬픔, 공포 등 일곱 가지 정서적 변화가 육체적 병증을 일으킨다. 화병도 칠정에 의한 질병이다. 화병이 생기면 몸에 열기가 난다. 목, 가슴에 덩어리가 맺혀 삼켜지지도 뱉어지지도 않고 가슴이 답답해지며 가슴 속의 치밀어 오름이 심해진다.
이 중에서 우리들이 가장 많이 느끼는 것이 불안이다. 이별의 불안에서부터 자기 징벌적 죄책감에 의한 불안까지 다양하다. 이걸 선택해도, 저걸 선택해도 모두 부정적 결과만이 나타날 게 뻔한 상황에 처했을 때도 불안해지기 마련이다. 우리가 친숙하지 않은 환경이나 상황이 계속된다면 위험과 고통이 예기되어 더욱 불균형은 고조되어 만성 불안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가슴이 두근대고 동공은 커다랗게 열리며 위장운동이 변화하고 호흡은 증가하며 혈압은 상승한다. 소변이 잦아지고 설사를 하거나 머리털이 곤두서고 식욕이 떨어지고 불면증이 나타난다. 행동도 과민해지고 서성대로 안절부절 못하게 된다. 심리적 평형 상태를 위협하는 생각이나 충동에 대한 위험신호로 이런 여러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정호(테마한의원 한의학박사)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