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기념관, 너무 조급한 것 아닌가

입력 2007-04-17 11:48:04

김해 인제대의 '노무현 기념관' 건립이 정가의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기념관 건립은 지난해 8월 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노사모 관계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처음 거론됐었다. 지난 2일에는 기념관 건립에 정부 예산 지원이 가능토록 한 '대통령 기록물 관리법'이 통과됐고, 13일에는 김해 인제대와 청와대가 건립을 논의하기에 이르렀다. 정부 예산 20억 원을 지원한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대통령 기념관은 국가의 중요한 역사 문화 기록장으로서 반드시 있어야 할 시설이다. '김대중 도서관'을 제외하고는 변변한 대통령 기록관이 없다는 것은 60여년 민주역사의 허상이 아닐 수 없다. 잘못된 역사도 보존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더더욱 그렇다. 그러나 대통령 기념관은 온당한 형식과 절차를 밟아 건립되는 것이 마땅하다.

현직 대통령의 역사 기록 정리 권한은 과거 정권에 국한된다. 우리의 역사인식에서 자신이 자신의 역사를 쓰는 경우는 없다. 그것은 곧 해체되어야 할 권력의 송덕비일 뿐이다. 대통령은 차라리 성남 대통령 기록관과 같은 전임 대통령들의 기념사업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가꾸는 일을 우선 해야 한다. 그것이 살아있는 권력으로서의 도리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노 대통령은 자신의 기념관에서 무엇을 국민들에게 보여주려고 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부터 풀어야 한다. 권위주의의 청산, 친인척 비리 해소와 같은 치적이 없는 바는 아니지만 국민적 평가는 그렇게 튼튼하지 않다. 기념관은 다음, 또는 그 다음 대통령이 국민들의 동의를 얻어서 지어도 늦지 않다. 정권 말기의 박탈감이 조급증으로 발전한 듯한 이런 일은 공연한 오해와 불신을 부를 뿐이다. 법적인 하자가 없다 하더라도 어색하고 낯간지럽다. 임기 중에는 본인의 기념관 계획을 거론치 말아주었으면 한다. 다른 할 일이 너무 많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