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농소면에 건립 추진 중인 KTX 역사 명칭과 KTX의 경부선 구미역과 김천역 정차 문제를 놓고 김천, 구미 두 지역사회가 시끄럽다.
최근 김천에선 한국철도시설공단이 KTX 역사 조감도에 역사 명칭을 '김천·구미역' 으로 표기한 것과 관련, 시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이 같은 반발은 2003년 10월 건설교통부가 KTX 역사 건립 확정 때 '김천·구미역'으로 발표했을 때도 있었다. 김천 땅에 건립되는 만큼 지명을 그대로 따는 게 맞다는 논리다.
김천의 이런 분위기에 대해 구미시민들의 반발은 만만찮다. 김천·구미는 동일 생활권이고, 역사 건립비(1천486억 원)의 지방분담비 51억 원 중 경북도·김천시는 각각 15억 원씩 부담하는 반면 구미는 21억 원을 부담하는 점, 건립비 분담 협의 때 역명을 김천·구미역으로 하는 전제를 달았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KTX 이용 승객의 70% 정도가 구미쪽 임을 감안할 때 당연히 김천·구미역으로 해야 한다는 게 주된 주장이다.
이런 불편한 심기들은 KTX 구미역, 김천역 정차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구미시는 KTX 정차를 위해 철도공사가 요구하는 월 10억 원 정도의 운행 적자 보전을 혈세로 감당하기로 약속했지만 김천시가 뒤늦게 김천역 정차 문제를 들고 나와 구미조차 정차하지 않을지도 모르는 상황으로 간다고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16일엔 구미지역 200여 개 시민단체의 연합체인 구미사랑시민회의가 KTX 역사 명칭 논란과 관련, 김천·구미 공동발전 선언문 채택으로 풀자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KTX 역사는 현재 실시설계 및 각종 영향평가가 진행 중이지만 조기 착공 염원과 달리 당초 목표인 올 연말 착공도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역 명칭을 둘러싼 논란보다는 조기 착공을 위해 힘을 합치는 것이 더 시급하고 대승적 양보가 결국은 더 큰 이익으로 다가온다는 점을 깨달았으면 좋겠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