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록지 않은 현실…그래도 한번 해볼라고요"
조각가 이장우(41) 씨는 최근 즐거운 경험을 했다. 지난달 서울 전시회에서 작품 'CYBORG-Time Box'(사이보그-시간의 상자)가 고가에 팔렸던 것. 이 전시회가 열린 것 자체가 묘했다. 지난해 11월 봉산문화회관에서 연 개인전을 본 중앙갤러리의 정대영 대표가 제안해 이뤄졌기 때문이다.
이제껏 겪어 보지 못했던 일들이어서인지 이 씨의 기분은 한껏 고무돼 있었다. 그래도 현실은 아직 그렇게 호의적이지는 않다. 1995년 첫 개인전 이후 아홉 번의 개인전을 여는 동안 작품 판매는 '심각한 수준'이다. 다른 분야에 비해 조각은 '관심 밖'이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 윤갤러리에서 연 첫 전시회의 암담한 결과는 패기 있는 젊은 작가의 기대감을 산산이 부셔버렸다. 차가운 현실의 벽은 작업을 계속하면서 더욱 커져만 갔다. "모두 가난하게 살 각오가 된 사람들이다."는 각오와 예술에 대한 갈망이 아니었으면 벌써 포기했을지도 모른다.
이 씨는 이 어려운 현실의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한다. 지난해 열린 대한민국청년비엔날레 부대행사 국제조각심포지엄에서 만난 국내외 작가들과의 만남은 이 씨에게 하나의 길을 열어줬다. 이 씨는 "그동안 너무 시각이 좁았음을 깨달았다."고 회상했다.
어려운 현실에 부닥쳐 바깥을 돌아볼 생각조차 못했던 것이다. 외국 작가들로부터 해외 조각심포지엄 행사에 참여하는 방법 등을 들었다. 동료들과 함께 인터넷에서 정보를 수집했다. 그 결과 이상헌 씨와 김봉수 씨는 올 7월 스위스와 프랑스·체코 등에서 열리는 행사에 참가할 예정이다. 두 사람에게 지원되는 금액도 국내의 현실에 비하면 엄청나다.
"기다려서 될 일이 아니다. 스스로 길을 찾아야 한다."는 이 씨는 이제 지역에서도 해외 작가들과 직접 교류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 중이다. 벌써 시작된 것은 다른 지역 작가들과의 교류. 조각심포지엄에 참가한 부산 작가 정희욱 씨와 인연이 돼 양 지역을 서로 방문하고 있는 것.
현재는 작가의 작업실에 모여 술 한 잔 기울이며 정보도 교환하는 수준이다. 이 씨는 "현재 지역 작가들이 연대해 서울에서 전시회를 열기 위해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1992년 외인조각회 창립 회원으로 초대 회장도 지낸 이 씨이기에 더욱 의미 있는 일이다.
어쩌면 현실적 장벽 앞에 무너져 내리는 후배들을 위한 길인지도 모르겠다. "예전에는 후배들에게 '무조건 하라', '어떻게 하라'는 식이었는데, 지금은 한 사람의 인생이 걸린 일이라 강요를 못 하겠다."고 고백한 이 씨이기 때문이다.
조각프로젝트, 바다미술제 등에서 조각이 부각되고 있는 부산은 너무나 부러운 사례. 이천과 보령의 국제조각심포지엄도 마찬가지이다. 지역 미술계에서 조각 부분이 미약하다지만 "대구에서는 벌써 생겼어야 했다."는 것이 이 씨의 주장이다.
그는 동제미술전시관 잔디밭에 조성된 조각공원을 실례로 들었다. 졸업하는 작가들의 재학 시절 작품 등을 모아 꾸며놓으니 사람들도 즐기고 미술관 측에서도 장식이 돼 좋다는 것이다. 부산이 조각 작품을 이용해 공원을 만든 것처럼 대구시도 조각에 투자를 하면 조각공원을 조성하는 등 공공미술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논리이다.
그래서 조각심포지엄이 1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계속됐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2003년 청도에 처음으로 개인 작업실을 구해 '공부나 하며 좀 쉬자.'는 마음으로 틀어박혀 있다가 이제 슬슬 활동을 재개하는 시점에서는 오히려 더 잘된 일이다.
봉산문화회관에서 4월 7일까지 열리는 '조각 스튜디오-조각가 스튜디오 들여다보기전'에 참여 중이고, 5월에는 고토갤러리에서 전시회가 잡혀 있다는 이 씨의 꿈은 '자기 작업에 대해 확실히 맥을 잡은 뒤 여러 나라에 다녀보고 싶다.'는 것. 어둡기만 했던 현실의 터널을 지나 이제 '밝은 미래'를 향해 한 단계씩 나아가는 시점이어서 그리 가까운 현실의 일은 아니겠지만, 작가가 아직도 웃을 수 있는 이유이다.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