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가속기연구소 황찬국 박사 연구팀이 방사광가속기에서 나오는 고휘도(高輝度)의 극자외선과 연(軟) X-선을 쐰 반도체 기판 위에 흡착된 분자를 떼어내고 임의의 다른 분자를 이식하는 표면제어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황 박사팀은 27일 포항가속기 빔라인(방사광을 뽑아내어 이용하는 관)의 연 X-선을 이용해 반도체 표면 위에 잘 정렬된 염소 나노막이 제작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다른 빔라인으로 극자외선을 쐬게 해 염소기체를 떼어낸 뒤 다른 분자를 이식하고 관측하는 것까지 이루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감광제 없이 방사광을 사용해 60㎚ 이하의 분자 나노패턴을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게 됐는데, 황 박사는 "향후 최첨단 극자외선 리소그래피 방법과 결합하여 차세대 분자 및 바이오 소자 제작의 핵심 기술을 확보하는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반도체 소자 제작에 사용하는 보편적인 표면 패터닝 방법은 자외선과 고분자 박막을 감광제로 이용한 광학 리소그래피 기술인데 이는 빛의 파장과 장치 등의 한계로 60㎚ 이하의 미세 표면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재료과학 전문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3월 1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고 4월호에 정식 게재될 예정이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