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대통령 "나쁜 선례 끊지 못해…"
노무현 대통령이 22일 열린우리당 지도부를 청와대로 초청, 2시간 10분동안 진행된 '최후의 만찬'은 침통한 분위기 였다. 노 대통령이 정세균 열린우리당 의장 등 새 지도부에 덕담을 건네며 분위기를 띄우려 했지만 임기 말에 과거처럼 당에서 밀려나는 대통령이 되고 싶지 않았던 탓에 속내를 끝내 감추지 못했다. 표정은 어두웠고 평소와 달리 말이 자주 끊겼으며 말 수도 적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정국구상이나 개헌안에 대한 언급을 일체 하지 않았다. 대신 1990년대 통추 시절부터 대통령이 되기까지 정치 역정을 돌아보는 것으로 착잡함을 달랬다.
탈당 배경에 대해 노 대통령은 "당에서 공식 요구한 적은 없지만 일부라도 내게 부담을 느낀다면 갈등의 소재가 되는 것"이라며 "당이 순항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서 기다렸던 것"이라고 말했다. 노태우 전 대통령 이래 잇달아 당적을 정리하는 4번째 대통령이 되는 것에 대해 "나쁜 선례를 끊지 못했다."고 아쉬워하며 "더 이상 이런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노 대통령은 그러나 "비록 당적을 정리하지만 (정치권이) 언론과 같은 페이스로 나를 공격하는 데는 대응하겠다. 진보진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날을 세웠다.
침울한 만찬은 노 대통령이 우리당의 발전을 기원하고 정세균 의장 등이 화답하는 형식으로 마무리됐다. 노 대통령은 "나는 진리를 지키기 위해 정도를 걷겠다. 그러면 남은 임기 1년 국정과제를 잘 마무리 할 수 있지 않겠는가."고 스스로 다짐했다.
노 대통령은 일단 다음 주 초 당원에게 마지막 편지를 쓰고 탈당계를 제출할 예정이다. 3월 중 개헌안 발의도 예정돼 있다. 개혁 입법의 국회통과를 압박하는 메시지도 날릴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의 탈당으로 조기 레임덕(임기 말 권력누수)은 불가피해 보인다. 여당이 없어진 상황이라 발의한 개헌안에 대한 추동력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임기 마지막 날까지 일 하겠다."고 누차 강조해온 노 대통령이지만 조기 레임덕에 걸린 상황이라 국정을 원만하게 마무리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