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 많고 생기발랄한 학생의 가슴을 짓누르는 많은 것 중 하나가 시험이 아닐까? 학생들은 공부를 했든 안했든 상관없이 시험만 생각하면 답답하다. 이런 시험 불안을 없애기 위해 나는 나름대로 여러 가지 노력을 해 보았다. 특히 OMR카드에 관심이 많아 그 연구 성과가 TV에 방송되기도 했다. 대입 수능시험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가서 OMR카드 작성에 따른 학생들의 불안을 없애는 데 노력하자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OMR(Optical Mark Reader:광학마크 판독기)이 처음 개발되어 사용된 것은 1950년대이며 지금 세계에서 70개국 정도에서만 사용한다. 지금 사용하는 카드 판독기는 대부분 일본과 미국에서 개발한 것인데 감지기가 카드 아래 부분에 있는 검은 막대를 통과할 때 각 문항마다 마킹한 부분에서 빛을 발산하는 양을 측정하여 그 범위 안에 들면 정답으로 읽어 채점하는 2진법 방식이다.
이런 채점 방식을 정확히 알면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먼저 수성사인펜으로 체크한 후 나중에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위에 덧칠하면 수성사인펜과 컴퓨터용 사인펜은 빛을 발산하는 양이 다르기 때문에 판독기 센서가 수성사인펜은 판독하지 않고 컴퓨터용 사인펜만 판독한다.
학생이 카드를 바꾸는 경우는 마음이 불안해 정답 ②번에 손이 가다가 ③번에 마킹하는 경우, 떨리는 손으로 두세 번 마킹하다가 마킹 부분이 굵어져서 실수하는 경우, 번호를 밀어서 마킹하는 경우, 사인펜을 떨어뜨려 카드에 번져 실수하는 경우 등 다양하다.
나는 시험시간에 10분과 5분 남았다고 꼭 두 번 이야기해 준다. 그리고 먼저 수성사인펜으로 가볍게 표시하고 3~5분 정도 남은 후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힘을 약간 주면서 위에서 아래로 한번만 긋고, 정답을 결정하지 못한 문제는 끝까지 생각하다가 종이 울림과 동시에 마킹하는 것이 좋다고 얘기한다. 대입수능시험이나 교원임용고사 등 마킹부분이 둥근 원으로 된 카드도 힘을 약간 주면서 원을 한번 그리면 된다.
내가 여고에 근무할 때 카드 작성 미숙 때문에 모의고사에서 가채점과 실제 점수가 다르게 나와 고민하는 학생이 많았다. 이런 학생도 충분히 고칠 수 있다. 내가 학생들의 OMR카드 표기에 정성을 기울이는 이유는 부모님도 교사도 모르는 학생만의 고민이 있다는 것을 절실히 느꼈기 때문이다.
시험이 끝나고 점수가 잘못되어 오면 "정말로 잘못되어 네 성적이 올라가기를 선생님이 빌께!"면서 같이 확인해 본다. "선생님! 제가 마킹을 잘못한 것 같습니다."면서 힘없이 돌아서는 제자에게 나의 능력이 부족한 것 같아서 미안한 마음뿐이었다.
이글이 OMR카드에 대해 조금이라도 더 아는 기회가 돼 능력이 아닌 정답 표기 시스템에 의해서 점수를 잃는 학생이 하나라도 줄어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원수(경운중 교사)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