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는 왜 정전기가 더 많이 발생할까? 컴컴한 곳에서 옷을 입고 벗을 때마다 탁탁거리며 파란 불꽃이 인다. 자동차에 타면 머리털이 차 천장으로 곤두선다. 치마가 허벅지를 감싸며 말려 올라가는 바람에 당황하는 여성도 있다. 악수하거나 문고리를 잡다 화들짝 놀라기도 한다.
정전기는 습도가 20~30%로 떨어지면 생긴다. 피부는 옷과의 마찰 등으로 늘 전하가 흐른다. 평소엔 수분이 전하를 나르는 도체가 되어 방전하지만 건조할 땐 전하가 한곳에 머물러 있다가 자동차 문이나 옷, 다른 사람의 손이 닿는 순간 일시에 옮겨간다. 손끝이 찌릿할 정도의 정전기는 3천 볼트가 넘는 고압이지만 전류의 양이 아주 적어서 건강상 별다른 문제는 없다.
이 같은 정전기의 주범은 건조한 피부이다. 그래서 정전기는 젊은이보다는 피부가 건조한 노인에게 흔하다. 젊어도 피부가 건성이라면 정전기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아토피성 피부염 등 피부병이나 당뇨환자, 허약하거나 과로했다면 정전기가 피부를 자극해 염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정전기는 손에서 가장 많이 일어나므로 겨울엔 핸드크림이나 로션을 갖고 다니면 자주 발라주는 것이 좋다. 이밖에 옷을 빨 때 정전기를 줄여주는 섬유 유연제를 넣거나 정전기 방지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머리를 감을 땐 샴푸 후 린스를 잊지 않도록 한다. 털옷보다는 면 옷이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지 않고, 옷을 걸어둘 때도 옷 사이사이 신문지를 끼워두거나 털옷과 면 옷을 교대로 걸어놓는 것이 좋다.
김교영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