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 200년대 백제 도로유적 확인

입력 2006-11-21 11:23:41

풍납토성은 의문의 여지없는 왕성"

서기 200년대 무렵에 조성된 고대 도시의 도로 유적이 서울 풍납토성에서 확인됐다. 이번 도로 유적 발굴은 풍납토성이 백제가 한성에 도읍하던 시대(BC 18~AD 475)의 왕성(王城) 혹은 왕경(王京)이라는 사실에 의문의 여지를 없앤 것으로 평가된다.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백제 초기 도성인 풍납토성(사적 11호)에 대한 제1차 10개년 학술조사 추진계획에 의거해 풍납동 197번지 일대(옛 미래마을부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 최고(最古)의 도로 유적을 비롯해 대형 폐기장, 석축 수로, 주거지 등 80여 기에 이르는 유구를 확인했다고 21일 발표했다.

나아가 이곳에서는 수천 점에 이르는 다량의 기와를 필두로 각종 토기류, 토제 초석(기둥 받침돌), 철기류 등 유물이 확보됐다.

문화재연구소는 특히 이번에 확인된 도로는 "경주의 신라 왕경이나 백제 사비 시기(AD 538~660년) 부여·익산 지역 유적에서 발견된 도로에 비해 축조시기가 200~300년 정도 앞서는 것은 물론, 초기 백제의 유력한 왕성으로 추정되고 있는 풍납토성 내에서도 처음으로 확인된 귀중한 자료"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확인된 도로는 너비 8m에 길이 41m에 이른다. 남북을 관통하는 이 도로와 교차하는 너비 5m가량 되는 동서 방향 도로도 드러났다.

조사 결과 도로는 너비 7.5~8m로 땅을 얕게 파낸 후 가운데 부분에 폭 5m, 두께 20㎝ 정도 되는 잔자갈을 중앙이 볼록하게 깔아 노면을 조성했다. 양 측면으로 빗물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축조한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