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핵실험과 6자회담 재개의 비상한 상황에서 가장 중시할 외교안보 요소는 우방동맹과의 신뢰다. 무엇보다 꼬인 한미관계를 정상적으로 풀고 긴밀한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주변 4강과 대화가 통하는 인물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외교안보라인은 대통령의 의중을 충실히 떠받치는 인물이냐 하는 것 못지 않게 대외적 변수를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송민순 새 외교 수장은 미'일과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기는커녕 출발부터 부정적으로 찍히고 있으니 걱정이 아닐 수 없다.
뉴욕타임스는 엊그제 송 장관 후보자에 대한 미국 내의 부정적 반응을 보도했다. 이 신문은 "그는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전쟁을 많이 한 나라'라고 말한 것을 포함해 여러 가지 '반미적 발언'을 했다"고 미국사회에 알렸다. 한반도 문제에서 미국의 여론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는 한국 입장에서는 좋을 게 하나도 없는 일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도 어제 노 정권이 북한 핵개발을 저지하려는 의지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임명 전 국내서도 송 후보의 前歷(전력)을 들어 그 같은 우려가 터져 나왔지만 대통령은 무시했다. 외교 또한 '독선적 코드'를 고집한 것이다.
불법 대선자금을 받아 감옥에 갔던 이재정 씨의 통일부 장관 내정은 보은인사의 결정판이다. 노 대통령은 역시 같은 범죄로 처벌을 받았던 이상수 씨를 노동부 장관에 앉히더니 이번에도 이 나라의 장관 자리를 개인적 身世(신세) 갚는 데 이용한 것이다. 이 후보자는 도덕적 흠결 말고도 편향적 對北觀(대북관)에다 통일 분야 비전문가라는 비판을 받는 처지다.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자격과 자질을 가혹하게 따져야 하겠지만, 이렇게 논란 덩어리를 안고 있는 인물이 막중한 통일 업무를 앞장서 이끌 수 있을지 의문이다.
김승규 국정원장이 후임으로 반대한 김만복 내정자는 벌써부터 여당 일각에서 '일심회 간첩사건'에 대한 간섭에 시달리고 있다. 철저한 수사 촉구가 아니라 간첩사건으로 '몰고 간' 국정원 내부를 색출하라는 엉뚱한 주문이 그것이다. 이런 판이니 야당이 주장하는 간첩사건 축소'은폐를 위한 코드인사라는 공격이 耳目(이목)을 끄는 것이다.
국회가 철저하게 聽聞(청문)을 하는 도리밖에 없다. 여당까지 반대한 인사를 강행한 청와대가 돌이킬 가능성은 없더라도 국민의 檢證(검증)은 매섭고 확실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