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학부모들이 소위 명문대학들은 왜 정부 방침조차 어기면서까지 우수학생 선발을 위해 사생결단의 노력을 기울이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다. 학생들은 고등학교 공부가 그렇게 중요한가라는 질문을 자주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대학교육의 성패는 일차적으로 우수 학생의 확보 유무에 달려 있고, 명문대 진학과 상관없이 고교시절까지의 국영수를 비롯한 주요 과목의 학력은 학생의 장래를 좌우할 수 있는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뉴욕 타임즈의 칼럼니스트이자 프린스턴 대학의 교수인 앨런 크루거가 한국 사회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아주 주목할 만한 보고서를 낸 적이 있다. 그는 1976년에 미국 30개 대학에 입학한 학생 1만 4천 명이 20년 후인 1995년에 얼마의 연봉을 받는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는 명문대 출신이 비명문대 출신보다 평균 연봉이 2만 달러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조사 대상자들을 입학 당시의 SAT(대학입학적성시험) 점수로 다시 분류해 보니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1976년 입학 당시 SAT 1천200점을 맞고 그 점수에 맞는 수준의 대학에 간 학생의 평균 연봉은 9만 3천 달러였다. 그런데 같은 점수를 가지고 그보다 200점 정도 낮은 대학에 간 학생의 평균 연봉도 9만3천 달러임이 밝혀졌다. SAT점수가 같은 한에 있어서는 진학한 대학에 관계없이 20년 후의 소득도 비슷하다는 결론이다. 이 조사 결과는 고교 졸업 때의 기본 학력이 평생을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 사실은 한국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과거 전·후기만으로 신입생을 모집하던 때, 성적은 우수하지만 전기 대학에 불합격하여 후기 지방대에 입학한 학생들 중 상당수는 후에 사법고시나 행정고시를 비롯한 각종 고시에 수도권 명문대 못잖게 많이 합격했다. 후기 지방대에 입학한 우수 학생들과 서울 유학을 갈 수 없어 지방 국립대에 진학한 학력 우수 학생들 상당수는 국내 굴지의 기업들에 입사했고, 수도권 명문대 출신에게 조금도 뒤떨어지지 않는 업무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은 여러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흔히 입시 위주의 교육이 인성발달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물론 그럴 수 있다. 그러나 학창시절 공부만큼 인격수양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은 별로 없다. 다만 한 번 명문대 진학에 실패하면 평생 불이익을 감수하며 살아야 하는, 다시 말해 패자 부활전이 없는 구조적 모순이 문제될 따름이다. 고교 졸업 당시 기본 자질이 비슷하면 출신 대학에 상관없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크루거의 보고서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 준다. 중·고교 시절의 기초학력이 그 이후 모든 활동의 토대가 된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윤일현 (교육평론가, 송원학원진학지도실장)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대선 출마하나 "트럼프 상대 할 사람 나밖에 없다"
나경원 "'계엄해제 표결 불참'은 민주당 지지자들 탓…국회 포위했다"
홍준표, 尹에게 朴처럼 된다 이미 경고…"대구시장 그만두고 돕겠다"
언론이 감춘 진실…수상한 헌재 Vs. 민주당 국헌문란 [석민의News픽]
"한동훈 사살" 제보 받았다던 김어준…결국 경찰 고발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