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성능 저하, 잦은 고장, 사후관리 미흡
수도권 대기개선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 치 부착 사업이 잦은 고장과 출력·연비 저하, 저감장치 성능저하 등 문제점을 드러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경유차 저감장치 사업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차량에 이상이 생겼다' 는 응답 중 '출력 저하'가 29.3%로 가장 높고 '진동 및 소음 발생' 22.6%, '엔진 과열' 20.1%, '주변기기 고장' 15.5% 등으로 파악됐다고 2일 밝혔다. 저감장치 부착 과정에서의 불편 사항은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걸린다'(74.3%) , 저감장치 설치기관의 부당한 요구나 정비 미숙(17.3%), 추가 비용 부담 요구(5.3%) 등이 많았다.
애프터서비스를 받게 된 이유는 주변 기기 고장 20.2%, 엔진 과열 19.8%, 진동 및 소음 18.9%, 출력 저하 15.6%, 저감장치 이상 13.2%, 시동 꺼짐 현상 11.9% 등이다.
청소차나 마을버스 등 저속주행 구간이 많은 차량에 저감장치를 부착하면 인증조건과 달리 잦은 고장과 출력·연비 저하 등 문제점이 발생했다.
미세먼지 저감효율이 25%인 DOC(3종 저감장치)는 부착 뒤에도 배출허용 기준을 준수하기 어렵고 저감장치를 부착하기 적절치 않은 차량에도 마구 다는 사례가 빈발했다. 전반적인 배출가스 저감사업의 문제점으로 출력 등 차량성능 문제(27.5%), 비용부담 문제(16.2%), 차량 성능 및 부착기술 문제(15.2%), 저감 장치의 효율성(13.3%) 등이 많이 지적됐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