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일주일 정도 가량 남겨둔 단대목이다. 차례상에 올릴 갖가지 식재료를 구입하는 일도 만만치 않지만 훈훈한 정을 나눌 수 있는 추석 선물 고르기도 결코 쉽잖은 일이다. 수백만 원을 웃도는 초고가 추석 선물을 보며 서민들은 씁쓸한 맛을 지울 수 없다. 하지만 마음을 주고받는 자그마한 정성마저 외면할 수는 없는 현실. 예전에는 어떤 선물을 주고받으며 정을 나눴을까? 추석 선물 변천사는 한국 경제 발전사를 그대로 보여준다.
1950년대까지는 지금과 같이 추석 선물 개념이 없었다.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며 먹고 살기에도 바빴다. 선물이라고 해 봐야 갓 추수한 찹쌀, 고추이거나 계란, 돼지고기, 밀가루, 토종 닭 등을 주고 받는 것이 전부였다. 60년대에는 처음으로 백화점 카탈로그가 등장했다. 당시엔 밀가루, 설탕, 조미료의 3백식품과 라면, 맥주, 통조림으로 대표되는 식료품들이 가장 인기를 모았다. 또 다리미, 석유곤로, 양복감, 맥주, 세탁비누 등도 많은 인기를 모았다.
1970년대에 경공업이 발전하면서 나일론 제품의 인기몰이가 시작됐다.
가장 대표되는 상품은 '스타킹'과 '빨간 내복'. 특히 여성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경공업 발달로 화장품과 그릇, 라디오도 추석 선물로 등장했다. 다방과 음악실이 유행하면서 동서식품의 맥스웰 커피세트도 젊은이들 사이에 인기 선물품목이었다. 이밖에 조미료세트, 어린이 과자세트도 나와 60년대의 식료품 중심의 선물들이 70년에 접어들면서 다양화하기 시작했다.
본격적인 고도 산업 발전기인 1980년대에서는 10만 원대 상품들이 등장한다. 상품 종류도 70년대의 3배가 넘는 3천여가지로 더욱 다양해진다. 특히 80년대 후반부터 추석명절 선물의 대명사로 정육세트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요즘 나온 선물에 비해서는 조악하기 그지없지만 고급 과일세트, 참치세트가 새로 등장하였고 인삼, 꿀, 영지 등 건강식품도 인기를 모으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소비 양극화 추세를 보였다. 80년대에 유행하였던 10만 원대 정육세트가 30만~40만 원으로 고급화되고 수입양주가 베스트셀러로 등장했다. 최근 600만 원짜리 양주가 매스컴에 오르내리지만 당시에는 130만 원짜리 초고가 꼬냑 제품이 선물로 등장해 물의를 빚기도 했다. 상품권이 선물로 각광받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 구두, 손수건, 넥타이 등 고급 브랜드 잡화류도 선물로 인기였다. 특히 90년대 후반 들면서 골프가 인기를 끌면서 '있는 사람들' 사이에선 골프채를 선물로 주기도 했다.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1980년대에 등장한 상품권이 더욱 큰 인기를 모은다. 받는 사람의 취향을 고민할 필요없이 즉시 선물을 줄 수 있는 장점 덕분. 상품권도 점차 다양해졌다. 백화점 상품권, 구두상품권, 주유상품권 등이 등장했고, 최근 천덕꾸러기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지만 문화상품권도 선물용으로 인기였다. 선물세트 인기순위는 주류, 정육, 건강보조상품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2003년부터 불기 시작한 웰빙열풍으로 친환경 청과, 유기농 가공식품, 올리브오일, 포도씨기름 등도 인기를 끌고 있다.
김수용기자 ks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