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東北工程(동북공정)은 우리에게도 책임이 적잖다. 중국은 소수민족 문제 해결을 내걸고 이미 오래전부터 천문학적 돈과 인력을 투입, 역사 왜곡 작업을 벌여 왔다. 그러나 우리는 사전 정보는 물론 구체적 연구 상황이나 결과를 까맣게 몰랐다. 2년 전 고구려사 왜곡 파동 이후에도 정부 차원의 왜곡 작업은 않겠다는 口頭諒解(구두양해)를 철석같이 믿고 대비를 하지 않았다.
정부는 중국에 대한 경계 움직임에 오히려 제동을 걸기도 했다. 北核(북핵) 문제 해결에 북한을 설득할 유일한 나라라는 이유로 비위를 건드리지 않으려고만 했다. 동북공정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기관을 만들고서도 자리 싸움만 했을 뿐 연구는 뒷전이었다. 우리가 눈치나 살피며 자리와 所管(소관)을 다투고 있을 동안 저들은 마음껏 우리 역사를 유린했다.
첨병 역할을 해야 할 駐中(주중)대사관'외교부의 안이한 자세도 비난을 면키 어렵다. 한'중 간 교역이 활발한 데다 북경올림픽이 열릴 때까지는 중국이 불필요한 긴장을 만들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문제는 가만히 두어도 좋다고 여겼다. 그 결과 중국의 일방적'眼下無人(안하무인) 격인 태도를 불렀다.
일각에서는 대북한 문제와 작통권 등으로 미국과 마찰을 빚고 있는 틈을 노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우리 외교의 龜裂(균열) 상황을 중국이 패권의 기회로 여겼다는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핀란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동북아에서 유럽연합 같은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어 가장 강력한 장애 요인은 과거 역사 문제라고 했다. 일본과 중국의 역사 왜곡이 東北亞(동북아)의 협력과 신뢰를 어둡게 한다고 지적한 것이다. 그러나 역사 왜곡은 우리의 방비가 단단했다면 아예 불가능하다. 우리가 과거사에 매달려 이념 대립에 몰두할 때 저들은 막대한 돈을 들여 국가적 과제로 역사를 왜곡한 것이다.
동북아에 몰아치는 패권주의의 물결을 막아 내는 해결책은 외교다. 우리의 정당성과 저들의 부당성을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우리 내부부터 정리해야 한다. 주변국은 虎視耽耽(호시탐탐) 우리를 노리는데 친미'반미나 작통권 환수 찬반으로 한가롭게 싸우고 있을 때가 아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