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개편을 끝낸 경북도가 9월중으로 예상되는 대규모 인사를 앞두고 '논공행상' 논란으로 시끄럽다.
경북도가 김관용 도지사의 선거캠프에서 활약했던 참모들을 도청이나 도의 출자기관 등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규칙까지 개정하는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 이와 함께 김 도지사는 최근 "선거캠프 사람중 능력있는 사람 위주로 일자리를 줄 것이며, 이는 9월 도의 조직개편에 따른 인사 이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가운데 선거캠프에서 활약했던 A 씨가 도 출자기관(공기업)인 경북개발공사 사장, B 씨가 공보실 고위직에 임명할 것이라는 추측과 함께 내정설까지 나돌면서 공직사회가 벌써부터 크게 술렁대고 있다.
여기에다 김 도지사는 17일 확정한 조직개편안에서 투자통상본부장(3, 4급)의 경우 외부인사를 영입할 수 있도록 해 전문가로 둔갑한 선거캠프 쪽 사람들을 임용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을 수 없어 자칫 '논공행상'용 직제개편이 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도청 직원들은 "선거캠프의 핵심 인물들이 도나 도의 자회사 등의 자리를 차지할 경우 직위의 고하에 관계없이 실세로 군림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공무원들의 병폐인 '줄서기'가 공공연하게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며 "이 경우 공직사회가 정치판과 다름없게 되고 조직내에 위화감을 조성해 활력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걱정이다. 아울러 개방형직이나 별정직의 경우 공무원과의 업무협의 및 의사소통이 제대로 안돼 원활한 도정업무 추진에 걸림돌이 되는 가 하면 정무직에 대한 냉소주의와 청내 직원들간의 갈등도 예상되고 있다.
문제는 도지사가 선거캠프 사람들을 임명할 경우 제도적으로 막을 수 없다는 것. 개방형직은 공모과정을 거쳐 2, 3배수에서 적임자를 인사위원회에서 선정토록 돼 있지만 도지사의 의중만 담기면 맘대로 선정할 수 있다.
특히 그동안 개방형으로 직제개편이 가능했으나 규칙을 개정하지 않았던 직제를 이번에 개방형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특정한 인사를 겨냥한 사전 작업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밖에 김 도지사는 1급직인 정무부지사의 경우도 "올 연말까진 자리를 보장하겠다."고 의사를 밝혀 내년에는 선거캠프쪽 사람들을 임명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도지사 선거 당시 캠프쪽 인사들은 무슨 수를 써서라도 도청이나 공기업 등의 임원으로 들어올 것이란 소문이 공무원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실제로 선거캠프쪽 인사 상당수가 도지사가 임명할 수 있는 공기업과 단체 임원과 자격 등을 알아보는 등 이미 물밑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황재성기자 jsgold@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