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위원 132명, 대전·경북 교육감 선출
제5대 시·도 교육위원 선거가 31일 전국 53개 선거구에서 일제히 치러졌다.
이번 교육위원 선거에서는 울산과 제주를 제외한 전국 14개 시·도의 초·중·고교 학교운영위원 11만4천여명이 선거구별로 유권자로 참여해 총 132명을 뽑는다. 당선자 윤곽은 오후 8시께 나올 것으로 보인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현재 전국 평균 투표율은 81.1%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투표는 오후 6시 종료된다.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임에도 이처럼 투표율이 높은 것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사학단체 등이 자신들을 지지하는 학교운영위원들의 투표권 행사를 독려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 투표율은 대전지역이 90.0%로 가장 높고 경북 88.4%, 전북 88.0%, 전남 86.9%, 충북 86.2%, 충남 84.6%, 광주 83.9%, 경남 83.3%, 인천 82.5%, 부산 81.9%, 강원 78.0%, 대구 77.7%, 서울 77.0%, 경기 73.0% 등이다.
지난 21일 후보등록을 마감한 결과 모두 408명이 후보자로 등록, 경쟁률이 제4대 당시인 2002년의 2.8대 1보다 높은 3.1대 1을 나타냈다.
다만 서울시의 경우 15명을 선출하는데 36명이 출마해 2.4대 1을 기록, 제4대(3.26대 1)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다른 지역 경쟁률을 보면 충북이 4.1대 1로 가장 높았고 인천 3.8대 1, 강원 3.8대 1, 경기 3.7대 1, 대구 3.6대 1, 대전 3.4대 1, 경북 3.2대 1, 전북 3.1대 1, 충남 2.9대 1 등이다.
선거구별로 2∼3명을 선출(중선거구제)하는 이번 교육위원 선거에서 전교조가 53개 선거구에 43명의 단일후보를 공천하고 사립학교법 개정에 반발하고 있는 사학재단들과 교총이 각 선거구에 한두명의 후보를 내 단체 간 대리전 양상을 보였다.
전교조 후보들은 제4대 선거 때(35명 추천에 24명 당선)처럼 많이 당선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전교조 부산지부 통일위원회가 지난해 10월 북한의 역사책을 발췌해 제작한 통일학교 행사 교재를 놓고 색깔논쟁이 야기되면서 이른바 '북풍(北風)'이 불어 고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과연 몇명이 선출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교육계의 국회'로 불리는 교육위원은 임기가 4년으로 시·도 교육청의 교육정책 수립, 예산 편성 및 집행 등을 감시·견제하며 연간 5천만원 내외의 의정비를 받는다.
한편 사전 선거운동으로 인한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가 확정된 대전 교육감과 임기가 끝나는 경북 교육감 선거도 이날 함께 실시됐다.
대전의 경우 대전시 교육청 교육국장 출신인 윤인숙(尹仁淑.60.여)씨와 김신호(金信鎬.53) 공주교대 교수 , 이명주(李明珠.46) 공주교대 교수 등 3명이, 경북에서는 송영환(宋榮煥.63)씨와 이동복(李東復.57)씨, 이종목(李鍾穆.63)씨, 조병인(趙炳仁.68)씨 등 4명이 출마했다.
중앙선관위는 31일 현재 위법선거운동사례 94건을 적발, 이 중 33건은 고발, 12건은 수사의뢰, 49건은 경고조치했다. 이는 제4대 교육위원선거 당시의 51건보다 84% 증가한 것이다.
경찰청은 대전·경북 교육감 선거에서 7건의 신고와 첩보가 들어와 4명이 내사 대상에 올랐고 시·도교육위원 선거에서 7건의 위반 의혹 사례가 파악돼 9명을 내사 중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