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시 남한산성 산책로 주변에서 멸종위기 동물인 수컷 여우가 발견돼 토종 및 야생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1일 성남소방서에 따르면 지난 29일 오후 3시30분께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1동 사기막골 남한산성 도립공원 산책로 입구에서 여우 한 마리가 승용차 밑에 웅크리고 있는 것을 안모(55)씨가 발견해 119구조대에 신고했다.
안씨는 "산책을 하던중 승합차 밑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려 들여다보니 여우가 으르렁대고 있었다"며 "여우가 몹시 지쳐 보이는데다 행인들이 무서워할 것 같아 신고했다"고 119구조대에 말했다.
출동한 119구조대는 그물망과 목줄을 이용해 여우를 포획한 뒤 성남시 야생동물 치료지정기관인 모란동물병원에 인계했다.
병원 측은 31일 여우와 함께 여우로부터 채취한 혈액과 모근을 과천 서울대공원으로 넘겼다.
환경부 자연자원과 관계자는 "서울대공원은 멸종위기 포유류 서식지외 보존기관으로 유전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여우에 관한 혈액 샘플을 보유하고 있다"며 "야생 및 토종 여부를 가리는데 일주일 정도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모란동물병원 김상현 원장은 "포획 당시 별다른 외상은 없었으나 심한 탈수증세를 보여 먹이에 영양제를 보충해 어느 정도 건강이 회복됐다"며 "치아로만 볼 때 2-3년생 수컷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창만 박사는 "우리나라 여우(일명 붉은 여우)는 1960년대 들어서면서 사실상 멸종위기 단계에 들어갔다"며 "토종 여우가 야생상태로 남아 있다는 것은 생물학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장모(50.경기 광주시 목현동)씨는 이날 모란동물병원을 찾아 "이 여우를 (발견지점에서 3-4㎞ 떨어진) 목현동 농장에서 사육하다 2주전 잃어버렸다"며 "올초 복원 목적으로 외국에서 들여온 토종과 같은 종으로, 남매 두 마리를 보유하고 있어 유전정보를 확인하면 판명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야생 여우는 1978년 지리산에서 사체가 확인된 이후 전혀 모습을 드러내지 않다가 지난해 3월 강원도 양구군 동면 덕곡리 뒷산에서 수컷 사체 한 마리가 발견돼 관심을 모은 바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