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인근지역 난개발 막기위한 계획 필요"

입력 2006-05-10 10:44:13

"대구 혁신도시 내 임대주택과 그린벨트 해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건설교통부)

"혁신도시 인근지역의 난개발 문제는 혁신도시와 균형있고 조화되게 발전될 수 있도록 지구단위 도시계획 수립을 검토해야 합니다."(한국도시설계학회)

9일 대구시청 회의실에서 열린 '대구 혁신도시 기본구상 용역 착수보고회'에는 용역을 맡은 한국도시설계학회와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공사를 비롯해 건설교통부, 대구시, 동구청, 가스공사, 대구경북연구원 관계자 등 10여 명이 참석해 성공적인 혁신도시 조성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한국도시설계학회는 임대주택 계획보다는 혁신도시에 무게를 두고 기본구상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산·학·연 유치 및 혁신클러스트 육성 문제에 주안점을 두고, 혁신도시 인근지역도 혁신도시와 조화롭게 발전될 수 있도록 지구단위 도시계획 수립이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구시와 동구청은 혁신도시 내 임대주택의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해 결정해야 하며 혁신도시와 부합하는 임대주택 평형과 계획 호수를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혁신도시 인근지역의 난개발 문제도 연계해서 기본구상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건설교통부는 올 6월 혁신도시 지구지정이 될 수 있도록 협조를 부탁하고, 혁신도시 기본구상(안)과 상위계획이 부합되게 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혁신도시 내 임대주택 및 그린벨트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얘기했다.

대구경북연구원은 개발수요 추정(설문·통계 조사)보다 개발수요 창출의 혁신도시로 계획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교통수요는 대중교통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돼야 하며 안심역에서 경산 소재 대학간 철도교통체계 검토, 산학연클러스트 형성을 위한 민간주도형 클러스트 발전위원회 구성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전공공기관인 가스공사는 이전기관 직원들에 대한 주택, 세금, 교육 문제(과학고)와 부지 이전에 따른 문제들이 원활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했다.

사업시행자인 토지공사는 부지 조성원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여러 가지가 있으나 최소의 비용으로 분양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지구 외 도로에 대한 비용 부담은 조성원가 상승으로 연결돼 이전공공기관들에게 장애요인이 될 수 있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대현기자 sk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