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독도 해류조사 시비 본격화할 듯

입력 2006-04-30 15:46:17

일본이 7월로 예정된 한국 해양조사원의 독도부근 해류관측조사에 본격적으로 시비를 걸 태세다.

일본 정부는 한국 해양조사원이 7월에 실시할 예정인 독도주변 해류조사에 대해 설명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30일 보도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일본 외무차관은 20-21일 서울에서 열린 유명환 외교통상부 제1차관과의 회담때도 이 문제를 거론했다.

5월 1-2일 서울을 방문할 예정인 시오자키 야스히사(鹽崎恭久) 외무성 부대신도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이 문제를 거론할 계획이라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또 5월중 재개키로 합의한 배타적경제수역(EEZ) 획정협상에서도 해류조사계획에 대해 설명을 요구할 방침이라는 것이다.

대표적 우익지로 꼽히는 산케이(産經)신문은 하루전인 29일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 "조사예정해역에는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이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다.

해양조사원은 지난 1월27일 항행통보에 2천500t급 수로측량 관측선을 이용, 독도 부근 수역에 대한 해류관측을 7월 3∼17일 실시하겠다는 계획을 공시했다.

조사 대상해역은 독도로부터 12해리 안에 있는 우리측 영해다.

요미우리, 산케이 등 일본 보수언론이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해류조사를 문제삼고 나선 것은 어떻게든 독도를 분쟁지역화하겠다는 일본 정부의 속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항행통보는 선박이 항해할 때 유의해야 할 위험요소가 있는지 등을 알려주는 안 내책자 성격으로, 국제수로기구(IHO) 회원국들은 이를 공유하고 있다.

국립 해양조사원은 2000년부터 울산을 기점으로 독도까지 수온, 염분, 유향,유속 등의 해류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 해류관측을 실시해왔다.

일본 정부와 보수언론이 지난 1월에 공고된 항행통보를 근거로 뒤늦게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것은 기회있을 때마다 독도가 분쟁지역이라는 것을 국제사회에 각인시키려는 계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본 언론은 해저지형명칭을 둘러싼 대립과정에서 독도분쟁지역화에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편 중국 국가해양국 쑨즈후이(孫志輝) 국장은 독도 영유권과 관련, 강경대응을 선언한 한국 정부의 정책은 "참고할 만 하다"고 평가, 동중국해에서 일본과 영유권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처럼 강경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일본 언론이 홍콩 문회보를 인용, 보도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쑨즈후이 국장은 영유권 문제에 대해 외교노력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필요할 때는 일본에 대항할 능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