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산업밸리 프로젝트' 각광받는 이유는?

입력 2006-04-28 11:07:48

안전산업이란 우리나라 산업분류에 없는 분야다. 또 안전산업을 집적해 집중 육성하려는 대구 프로젝트인 안전산업밸리 프로젝트는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어디에도 없는 것이다.

그런데도 대구시가 프로젝트를 발표하자마자 집권여당인 열린우리당이 지원을 약속하고 주무부처인 산업자원부까지 호평하고 나선 까닭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에서 쏟아내는 각종 구상이나 프로젝트는 해외나 타 지자체에 이미 있는 것을 베낀 경우가 대부분인데 대구 안전산업밸리 프로젝트는 그렇지 않다."며 "세계 어디에도 없는 구상이기 때문에 신선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은 안전산업을 국가 미래전략산업으로 간주해 국가적 차원에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안전산업에는 유사시 군수산업으로 바꿀 수 있는 분야가 많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안전산업은 현재 영세하기 그지없다. 그러기에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대구시의 판단. 3천여 개에 이르는 안전산업 업체 가운데는 제대로 육성하면 엄청난 전후방 파급 영향력을 발휘할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업체가 많다. 관련 특허만 1천여 개가 넘어 특허의 산업화 길도 열려 있다.

문제는 정부가 안전산업밸리 프로젝트를 어떻게 평가하고 지원 육성하느냐 여부. 주무부처인 산업자원부는 26일 박광길 대구시 과학기술진흥실장의 설명을 듣고 일단 합격점을 줬다.

남은 과제는 안전산업밸리 프로젝트를 산자부 신규사업에 포함시키고 예산을 확보하는 것이다. 특히 5월 말까지 내년 정부 예산안을 확정할 예정이어서 시간이 부족한 게 넘어야 할 '산'이다. 국비가 500억 원 이상 지원되는 신규사업(안전산업밸리 프로젝트는 국비 2천500억 원)은 올 연말까지 기획예산처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야 되므로 자칫 대구시의 계획이 늦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하지만 올해 당장 사업을 시작하는 길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대형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우선 원칙'은 어디까지나 원칙일 뿐이어서 기획예산처가 시급한 프로젝트라고 판단하면 '예비타당성조사'와 기본설계를 동시에 진행해도 무방하다.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이 안전산업밸리 프로젝트에 대해 의미있는 프로젝트라고 동의해 지원을 약속하고, 정세균 산자부 장관에게 기본설계비 20억 원 확보를 요청한 것은 그래서 의미가 작지 않다는 평가다.

박광길 대구시 과학기술진흥실장은 "먼저 사업을 시작하고 예비타당성조사 등 행정적 절차를 뒤늦게 밟는 사례는 경기도 등 여기저기에 많다."며 "프로젝트가 좋고 집권여당이 이를 인정하는 만큼 잘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