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민주당" 연이은 '공천비리' 충격파

입력 2006-04-22 08:58:47

한나라당 '공천비리' 파문의 여진이 계속되고있는 가운데 민주당 조재환(趙在煥) 사무총장이 21일 최락도(崔洛道) 전 의원으로부터 현금 4억원을 받은 혐의로 경찰에 전격 체포되면서 지방선거를 앞둔 정치권에 또한번 충격파를 던지고 있다.

사실관계가 경찰수사를 통해 명확하게 가려져야 하지만, 일단 전직 의원이 단체장 공천을 위해 원내 제3당의 사무총장에게 거액의 공천헌금을 주려다 적발됐다는사실만으로도 정치권에 미칠 파장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무엇보다도 이번 수사의 칼끝이 단순히 민주당만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정치권 전반으로 확전되는 '신호탄'으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섞인 전망 속에서 사태 추이에 촉수를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최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공천비리 철저단속 지시가 정치적 의도를담고 있다며 극도의 경계감을 표출해온 한나라당을 비롯한 야권은 "마침내 올 것이왔다"며 강한 반발 조짐을 보이고 있어 여야간에 또다른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분위기다.

당장 경찰 수사의 타깃이 된 민주당은 그야말로 '패닉' 상태다. 민주당은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해 이상열(李相烈) 대변인 등 당직자들을 경찰에 급파, 조 총장을면담한 뒤 의원.당직자 대책회의를 잇따라 열고 서둘러 대국민 사과성명을 발표하는등 파문확산의 조기차단에 나섰다.

이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을 통해 "사무총장이 경찰에 긴급체포돼 국민에게 심려를 끼쳐드린 데 대해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민주당은 현재 진상을 파악 중에 있으며 진상이 밝혀지는 대로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그러면서도 조 총장이 지방선거 공천을 결정하는 공직후보자자격심사특위 위원을 겸임했다는 점에서 "추가 사건이 터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지방선거를 앞두고 '악재'가 불거졌다며 전전긍긍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최근 한나라당 공천비리 사건 이후 전남지역 모 단체장 후보의 공천헌금 수수설등이 나도는 상황에서 조 사무총장 체포를 기화로 당 전체로 공천비리 수사가 번져가는 것 아니냐는 초조감이 엿보이고 있다.

그런 한편으로 민주당 내에서는 최근 지방선거 자금이 부족해 조 총장이 특별당비 모금에 나섰던 정황을 강조하면서 야당 사무총장의 전격 체포는 "여권의 민주당죽이기이자 정치탄압"이라는 음모론도 함께 제기했다.

일본을 방문 중인 한화갑(韓和甲) 대표는 이날 오전 긴급보고를 받고 "어떻게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가. 민주당 죽이기가 아니냐"고 말했다고 이 대변인이 전했다. 한 대표는 22일 오전 국회에서 긴급대책회의를 주재할 예정이다.

제1야당인 한나라당은 이번 수사의 배경을 놓고 "공권력을 동원한 야당탄압 기도 아니냐"며 강하게 반발하는 조짐이다.

이정현(李貞賢) 부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야당 사무총장의 일거수 일투족이 경찰에 노출되고 있다는 사실이 소름끼칠 정도로 오싹한 일"이라며 "대통령의 공천비리 단속 이후 야당탄압을 위한 고전적 수단들이 동원되고 있지 않느냐는 의심을 갖게 한다"고 비난했다.

이방호(李方鎬) 정책위의장은 "위법은 다스려야 하지만 대통령이 수사방향까지정하고 검찰과 경찰이 압박하는 태도는 지나치게 과잉대응한 것으로 야당을 탄압하는 인상을 주고 있다"며 "공권력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행사돼야 한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이번 수사를 공천비리를 근절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원론적입장으로 대응하면서 야당의 '정치탄압' 주장에는 "터무니 없는 정치공세"라며 적극반박하고 있다.

우상호(禹相虎) 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안타까운 일"이라며 "그러나 돈과 정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분명한 시대적 사명인 만큼 '돈 정치'에 대해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성역없이 엄격히 수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 대변인은 그러나 야당의 정치탄압 주장에 "자기네들끼리 돈을 주고받은 것을놓고 무슨 야당탄압이라고 할 수 있느냐"고 반박했다. 민주노동당 박용진(朴用鎭) 대변인은 논평에서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야당탄압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자기 내부에 대한 엄격한 태도가 우선"이라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