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품 비리로 구겨진 한나라 공천 개혁

입력 2006-04-13 11:47:44

한나라당이 김덕룡(서울 서초을) 박성범(서울 중) 두 의원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 구청장 후보 공천과 관련해 김 의원은 4억4천만 원, 박 의원은 미화 21만 달러를 받은 제보가 들어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전례 없이 검찰에 자진 신고할 만큼 꽤나 다급했던 모양이다. 그만큼 제보 내용이 신빙성 높고 그대로 두었다가는 지방선거는 물론 다음 대권까지 물 건너간다는 위기감이 컸던 것 같다. 국민으로서는 소문으로 돌던 국회의원의 공천 장사가 실체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스스로 다짐한 공천 개혁이 헛소리였구나 하는 배신감을 떨칠 수 없다.

사실 한나라당이 이번 지방선거에서 중앙당이 쥐고 있던 공천권을 시'도 공천심사위원회에 넘기는 것까지는 좋은 취지였다. 그러나 그 운영을 보면 지역구 국회의원이 좌지우지한 구태 그대로다. 외부인사까지 낀 심사위 구성이 공정성을 의심받고 심사기준이 모호하며 국회의원끼리 자기 사람 청탁하기가 공공연하다지 않은가. 국회의원 입김 때문에 면접, 서류심사, 투표로 진행하는 공천 절차가 흔들린 게 한두 곳이 아니라는 것이다.

현재 한나라당 '클린공천 감찰단'에는 전국에서 공천비리 의혹 제보가 200여 건 들어 와 있다고 한다. 이 지역에서도 검찰이 곽성문 의원의 대구시의원 후보 공천비리 의혹을 수사 중이고, 박근혜 대표 지역구인 달성군에서는 군수와 시의원 후보의 특정인 사전 내정설로 어수선한 실정이다.

한나라당은 두 의원을 자발적으로 검찰에 넘겼다는 것으로 공천 개혁의지를 보여주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국민은 이 사태를 빙산의 일각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일어나고 있는 모든 공천 잡음에 대해 빠짐없이 진상을 캐 낱낱이 밝혀야 한다. 그래야 그나마 살 길이 보일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