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수출기업 ⅔ 이상, 환위험에 '무방비'

입력 2006-04-10 09:29:35

최근 환율이 급락하고 있음에도 불구, 대부분의 중소수출기업들은 환리스크 관리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가 1천만 달러 이하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긴급 실시한 '중소수출기업의 환리스크 관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업체의 73.8%가 환위험관리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위험관리를 하고 있다'는 응답은 26.2%에 불과했다.

환위험 관리 방법과 관련해 외부금융상품을 이용한다는 응답이 15.9%, 내부관리기법 이용이 9.5%, 내부와 외부기법 둘 다 이용한다는 응답이 0.8%로 나타났다.

비제조업일수록, 수출규모가 작을수록 환위험관리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위험 관리를 하지 않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전문인력 부족과 해당분야 지식 전무'가 62.1%로 가장 높았고 '수출규모가 작거나 대금회수기간이 짧아서'가 13.7%, '비용부담'이 9.5%로 각각 나타났다.

내부기법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전체의 9.5%) 수출자금과 수입자금의 흐름을 가능한 일치시키는 '매칭'이 31.3%로 가장 많고 결제통화 다변화와 수출가격조정이 각각 21.9%였다. 외부금융상품을 이용하는 경우(전체의 15.9%) 환변동보험이 60.7%, 은행의 선물환이 28.6% 등이었다 .

외부금융상품 이용시 애로사항으로는 '절차가 복잡하고 이용이 어려워서'가 가장 많아 중소기업에 대한 환위험교육이 절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