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율이 급락하고 있음에도 불구, 대부분의 중소수출기업들은 환리스크 관리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가 1천만 달러 이하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긴급 실시한 '중소수출기업의 환리스크 관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업체의 73.8%가 환위험관리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위험관리를 하고 있다'는 응답은 26.2%에 불과했다.
환위험 관리 방법과 관련해 외부금융상품을 이용한다는 응답이 15.9%, 내부관리기법 이용이 9.5%, 내부와 외부기법 둘 다 이용한다는 응답이 0.8%로 나타났다.
비제조업일수록, 수출규모가 작을수록 환위험관리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위험 관리를 하지 않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전문인력 부족과 해당분야 지식 전무'가 62.1%로 가장 높았고 '수출규모가 작거나 대금회수기간이 짧아서'가 13.7%, '비용부담'이 9.5%로 각각 나타났다.
내부기법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전체의 9.5%) 수출자금과 수입자금의 흐름을 가능한 일치시키는 '매칭'이 31.3%로 가장 많고 결제통화 다변화와 수출가격조정이 각각 21.9%였다. 외부금융상품을 이용하는 경우(전체의 15.9%) 환변동보험이 60.7%, 은행의 선물환이 28.6% 등이었다 .
외부금융상품 이용시 애로사항으로는 '절차가 복잡하고 이용이 어려워서'가 가장 많아 중소기업에 대한 환위험교육이 절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 조희대 탄핵 검토는 "당 판단 존중"
김문수-지도부, 단일화 사분오열…국힘, 대선 포기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