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이해찬(李海瓚) 총리의 거취문제를 놓고 사퇴 쪽으로 '대세 굳히기'에 나섰다. 더이상 머뭇거리는 모양새를 보이다가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돌이킬 수 없는 치명타를 입을 것이란 상황인식 속에서 이 총리 사퇴를 공식화하려는 기류가 확연해지고 있다.
특히 극도로 말을 아껴온 당 지도부까지 공개적으로 이 총리 사퇴에 무게를 싣는 발언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어수선했던 당내 분위기는 사퇴론 쪽으로 확실히 '교통정리'되고 있는 양상이다.
13일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영(鄭東泳) 의장은 "5·31 지방선거로 가는 길에서 지금이 최대 위기"라며 "신뢰의 위기이기도 한 이 위기를 어떻게 잘 극복할 것인가에 지도부와 소속 의원, 당원의 지혜가 모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한길 원내대표는 한걸음 더 나아가 "오늘 저녁까지 바닥민심은 물론이고 우리당 의원들이 각자의 지역에서 의견을 취합해 최종적인 당의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 사퇴 쪽으로 확실한 수순밟기에 들어가겠다는 얘기다. 당 지도부가 이처럼 사퇴 쪽으로 강하게 치고 나온데는 여권 수뇌부 간의 사전교감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김한길 원내대표가 지난 10일 지도부의 의견을 취합해 이 총리와 청와대 이병완(李炳浣) 실장 등에게 전달하고 거취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져, 이 자리에서 큰 틀의 가닥이 잡혔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는 이 총리 거취문제를 놓고 가급적 '모양새 좋게' 마무리하려는 여권의 상황인식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이 총리의 사퇴가 대세로 기울었더라도 마치 여당이 '못 나가겠다'는 총리를 상대로 '흔들기'를 시도하거나 압박을 가하는 것처럼 비쳐지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는 판단이 자리잡고 있다는 것.
이에 따라 당이 바닥민심을 토대로 사퇴 의견을 전달하고 이에 맞춰 이 총리가 자진해 사의를 표명하면 대통령이 종합적인 판단을 통해 총리의 사의를 수리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 가장 무리없는 처리 해법이라는 게 당내의 지배적인 의견이다. 특히 지방선거 준비에 총력전을 펴야할 여당으로서는 이번 사태를 가급적 조기에 깔끔이 처리하는 게 필요하다는 판단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