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이 올 상반기 1만 명 이상 공개채용을 예정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지난해보다 규모를 확대하는 모습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기업들은 채용규모를 늘리면서도 인턴제나 적성검사를 확대하는 등 직무에 맞는 인재를 뽑으려는 성향이 커지고 있어 지원자들은 이에 맞는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삼성그룹은 상반기에 대졸 수준의 3급을 2천500명 뽑을 예정이고 LG그룹은 전자 부문 2천600여명, 화학 부문 400여 명, 통신·서비스 부문 400여 명 등 3천400여 명을 채용한다. GS그룹은 GS홈쇼핑이 상반기 20여 명의 신입사원을 선발하며 GS리테일은 최근 50여 명을 뽑기 위해 서류접수를 마쳤다.
포스코는 채용 인원을 지난해 대졸 200명, 고졸 100명에서 올해 각각 300명과 15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대졸은 6월 말, 고졸은 9월 말에 전형을 시작한다. LS그룹에서는 LS전선이 경력사원을 포함해 작년과 비슷한 200여 명을 뽑고, LS산전도 전자태그(RFID)사업 등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과 설계, 마케팅 분야의 인력 150명을 채용할 방침이다.
지난해 상반기 대졸 신입 90명을 뽑은 CJ는 올해는 대졸 신입 120명가량과 대학생 인턴 100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신세계는 대졸 200여 명을 포함해 2천500여 명을 상·하반기 절반씩 채용하는데 이는 지난해 대졸 190여 명 등 2천200여 명을 뽑았던 것보다 늘어난 수준이다.
현대중공업그룹과 STX그룹은 각각 5월과 4월에 공채를 하는데 규모는 작년과 비슷한 100여 명, 150∼200명이 될 가능성이 크고 동부그룹은 작년보다 100명 많은 1천명을 상·하반기에 나누어 뽑을 예정이다. 현대·기아차는 올해 비상경영 선언 등을 감안할 때 작년 수준(상반기 600명)보다 늘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대졸 사원을 상·하반기로 나눠 800여 명을 채용한 롯데와 GS칼텍스, GS건설 등은 아직 채용규모를 정하지 못했다. SK그룹은 SK㈜, SK텔레콤, SK네크웍스의 경우 상반기에는 채용이 없으며 두산그룹도 채용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