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산길은 언제 걸어도 아름답지. 이런 날이면 내가 초등학교에 다닐 때에 어느 노스님으로부터 들은 이야기가 떠오른단다.
옛날 이 골짜기에 아주 작지만 아담한 절이 있었대. 이 절에 묘운이라고 하는 아기 스님이 있었는데, 다섯 살 때에 부모님을 여의고 골목을 떠돌고 있는 것을 방장 스님이 데려와 길렀다는구나.
묘운 스님이 열두 살 되던 해 가을의 일이었대. 묘운 스님 이야기를 들려주신 노스님은 그때 청년 스님으로서 부엌일을 하고 있었는데, 아침밥을 지어 방에 들여보낸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의 일이라고 해. 방안이 술렁거리기에 무슨 일인가 하고 들여다보았대.
그랬더니 그 절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방장 스님이 어린 묘운 스님 앞에 엎드려 절을 올리고 있더래.
어찌된 일인지 알아보았더니 묘운 스님이 공양을 하려고 국그릇에 숟가락을 넣었더니 글쎄 국에서 죽은 쥐 한 마리가 나왔다는 것이었어.
너 같았으면 어떻게 했을 것 같니?
묘운 스님은 불어터진 그 쥐가 매우 흉측했지만 아무도 몰래 입에 넣었다는 것이야. 그런데 그만 목구멍에 걸리는 바람에 그만 숨을 쉴 수 없게 되었지. 사색이 되어 눈물을 흘리고 있을 때 누구인가가 묘운 스님의 등을 두드려 주어서 다시 숨을 쉴 수 있게 되었다는 거야.
묘운 스님의 등을 두드려 준 사람은 다름 아닌 부처님이었대. 아무도 부처님이 좌대에서 내려와 묘운 스님에게 달려가는 것을 보지 못했는데 오직 방장 스님만이 빛과 같이 빠르게 달려가는 부처님을 희미하게나마 보았대.
"묘운아, 너는 왜 그 쥐를 입에 넣었느냐?"
방장 스님이 물었지. 묘운 스님은 몇 번이나 별일 아니라고 사양을 하다가 겨우 대답하기를 만약 '여기 죽은 쥐가 있어요'라고 말했다면 이미 국을 먹은 스님들이 거북해 할 것이고, 미처 공양을 하지 않은 스님들은 아무 것도 못 드실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 그걸 삼켰다는 거야. 또 공양 당번 스님들이 애써 일을 하고도 국에 쥐가 들어갔다고 야단을 맞을지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고…….
그러자 모든 스님들이 숙연해 하였지.
방장 스님이 다시 말하기를 '그럼 상 밑에 몰래 감춰두었다가 버리지 왜 삼켰니?' 하였더니, 이미 많은 사람들이 국을 먹었는데 쥐가 나왔다 하여 그 국을 먹지 않는다는 것은 공부하는 사람으로서의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되어 삼켰다는 것이었어.
그러자 방장 스님은 '우리 절에 나이는 적어도 큰 스승이 있으니 그가 바로 묘운이니라. 묘운은 부처님을 움직인 공을 이루었느니라'하고 거듭 절을 올렸대.
이 이야기를 들려주신 노스님은 그때 그 절에서 부엌일을 하였던 청년 스님이었는데, 지금은 돌아가셨지. 어린 묘운 스님 덕분에 크게 깨달음을 얻은 이 스님은 그때 겪은 일을 우리들에게 들려주셨단다.
나는 지금도 그때 그 노스님이 들려주시던 목탁 소리를 잊을 수가 없단다. 그 목탁 소리는 온 세상을 평안하게 하는 것 같았어.
심후섭 아동문학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