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출이나 폭력 등 탈선 위기에 놓인 청소년이 무려 170만 명에 이른다는 사실은 그간 우리 사회가 청소년 문제에 대해 얼마나 무관심했는가를 여실히 보여준다.
최근 청소년위원회가 한국청소년개발원에 의뢰해 조사'분석한 결과는 큰 우려를 낳는다. 가출'폭력'학업중단 등 복합적인 문제로 심각한 위기에 놓인 고(高)위기군 청소년이 10월 현재 41만8천 명, 빈곤'이혼 등 가정문제로 방치할 경우 심각한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 중(中)위기군 청소년은 125만8천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고'중위기군 청소년은 모두 167만6천 명으로 중'고'대학생 연령대 전체 청소년 770만 명의 21.8%에 해당한다.
위기 청소년의 대량 발생은 외환위기 이후 계속되는 경제난과 부모의 실직, 이혼 등으로 인한 급속한 가정해체가 주원인으로 분석된다. 1997년 908명이던 청소년 자살이 작년 2천560명으로 182%나 늘었고, 생활보호대상 청소년도 1997년 24만 명 정도에서 작년 93만여 명으로 급증했다.
빈곤과 깨어진 가정, 사회의 무관심이 청소년을 집과 학교에서 멀어지고 하고, 탈선의 유혹 앞으로 내몰고 있다. 싱싱하고 밝게 자라 이 나라를 이끌어가야 할 재목들이 벌써부터 세파에 상처입고 병들어간다면 이는 전적으로 어른들의 잘못이다.
위기의 청소년들에게 신속하고도 적절하게 물적'정신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적 보호장치를 하루 빨리 마련해야 한다. 만시지탄이기는 하나 청소년위원회가 내년부터 전국적으로 청소년 상담지원센터 및 청소년지원센터 설치 등 위기 청소년 안전망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하니 기대된다. 헛구호에 그치지 않는, 청소년의 가슴에 가닿을 수 있는 전방위적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