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인지도 높이면 상품값↑…관건은 브랜드 통합
브랜드 남발은 경쟁력 상실로 이어진다. 농산물 브랜드의 경쟁력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우선 공동생산, 공동유통을 통한 '규모화'다. 공동 선별장을 갖추고 품질 규격화에 성공한 브랜드들은 일반 농산물에 비해 20~30% 이상의 높은 값을 받으며 승승장구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북도 내 적잖은 공동 브랜드는 이름만 그럴 듯 하게 통일했을 뿐 실제로는 개별 생산, 개별 유통에 의존하고 있다. 대형 유통점이 원하는 큰 물량을 맞출 수 없고, 생산지 관리가 안돼 다른 지역 농산물과 뒤섞이는 사례가 빈번한데다 유통 창구도 통합하지 못해 가격이나 품질이 제각각이다.
농가들은 공동생산, 공동유통 체제를 위해선 '지자체와 농협의 업무협조가 필수'라고 했다. 지자체와 농협이 별도의 브랜드를 만들어 사용하는 바람에 같은 지역의 농산물인데도 서로 다른 브랜드로 출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 브랜드 이름만 지어줄 뿐 돈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공동 선별장 같은 인프라 구축에는 손을 놔 공동 생산, 공동유통 방식으로 전환할 수 없다는 것.
도 차원의 브랜드 통합을 바라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경기도는 올 초 농산물 브랜드 전수 조사를 벌여 457개 브랜드 중 유명 무실한 소규모 브랜드 및 미등록 상표를 지역 특성에 맞게 135개 브랜드로 통합한 후 점차 수를 줄여 나간다는 전략을 세웠다.
공동브랜드가 대세지만 성공한 개별 브랜드도 행정이 나서 그 가치를 더욱 높여야 한다는 것. 영주의 천제명 홍삼 박관식 사장은 "많은 개별 브랜드들이 이미 전국적인 명성을 쌓고 있다. 이들 브랜드는 생산과 유통 시스템을 갖췄다"며 "전국적인 브랜드 가치는 이웃 농산물에 대한 신뢰도 확산에도 기여한다"고 말했다.
지자체나 농협은 농가들의 마인드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농협 관계자들은 "브랜드 통합을 서둘러야 하지만 서로 '우리가 제일'이라며 통합 자체를 거부하는 사례가 많다"고 며 "지자체와 농협이 손을 맞 잡고 공동 브랜드를 추진해도 대다수의 농민이 참여하지 않으면 공동브랜드는 무용지물"이라고 지적했다.
기획탐사팀 이종규 이상준기자
사진: 공동 브랜드를 키우자는 열기가 지자체에서 일고 있다. 청송군 농업기술센터 직원이 사과 시험재배장에서 지역 대표 브랜드를 목표로 키우고 있는 사과나무를 살피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