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야당에 제기한 연정론의 핵심인 선거구제 개편이 정치권의 최대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선거제도 개편시 각 당의 유·불리를 계산한 산술적 자료가 나와 주목된다.
한나라당 권오을 의원이 최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역구 243석, 비례대표 56석인 현재의 의석을 지역구 200석, 비례대표 100석으로 조정한 뒤 두 선거제도를 변수로 대입해 할 경우 한나라·민주당은 의석에 큰 변동이 없는 대신에 민노당은 조금 늘고, 열린우리당은 영남권에서 약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권역별 비례대표제
열린우리당은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등 영남권에서 총 15석(비례대표 포함 현재 4석)을 획득하는 반면 한나라당은 현재 의석수(60석)에서 조금 늘어난 63석이었다.
또 호남지역에서는 열린우리당이 26석을 차지하지만 한나라당은 1석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민노당은 각 지역에서 5개의 비례대표 의석을 확보해 총 7석을 차지하고 민주당은 의석을 얻지 못했다.
△ 독일식 정당명부제
전체 의석수를 정당별 득표율에 따라 나누는 제도. 이에 따라 영남지역에서는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각각 21석, 62석을 얻고, 호남에서는 21석과 5석씩을 확보해 한나라당의 호남 진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의석수는 열린우리·한나라·민노·민주당이 각각 139석, 122석, 16석, 10석을 차지해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각각 7석, 3석이 줄고 민노당은 6석 늘어난다.
한나라당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권 의원은 사견임을 전제로 "어떤 제도를 도입하느냐에 따라 여야의 이해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며 "하지만 이를 떠나 소선거구제 유지를 전제로 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