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NSC 실무대책회의 열어 회담대책 숙의
북핵 문제의 평화적·외교적 해결을 위한 제4차 북핵 6자회담이 오는 27일께부터 중국 베이징에서 진행될 전망이다. 조선중앙TV를 비롯한 북한 언론들은 9일 베이징에서 6자회담 수석대표인 북한의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미국의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가 회동한 사실을 전하고"조(북)-미 쌍방은 제4차 6자회담을 2005년 7월25일이 시작되는 주에 개최하는 것으로 합의하였다"고 밝혔다.
북한은 또"미국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주권국가라는 것을 인정하며 침공의사가 없으며 6자회담 틀거리 안에서 쌍무회담을 할 입장을 공식 표명하였다"며"조선(북한)측은 미국측의 입장 표시를 자기에 대한 미국측의'폭정의 전초기지'발언 철회로 이해하고 6자회담에 나가기로 하였다"고 덧붙였다.
지난 1∼3차 회담의 경우 모두 북한이 화요일 항공편으로 베이징으로 나왔고 그 이튿날부터 회담이 시작됐던 점을 감안할 때 27일 개막될 가능성이 커보이며, 그렇게 되면 4차 회담은 작년 6월 3차 회담 이후 꼭 13개월 만에 열리게 되는 셈이다.
정부는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선언과 관련, 10일 외교통상부 명의의 환영성명을 내는 한편, 오후에 이종석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차장 주재로 유관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NSC 실무대책회의를 열어 6자회담 재개대책을 논의했다.
송민순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이날 성명에서"회담이 개최되면 6자회담의 참가국들은 진지하고 본격적인 협상을 진행하여 북핵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 나가야 할 것"이라며"우리 정부로서는 북핵 문제의 직접적인 당사자로서 우리가 응당해야 할 역할을 계속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정부 고위당국자는 이날 비공개 브리핑을 통해 6자회담 형식 변경과 관련,"그 문제는 이미 많은 얘기를 해왔다. 회담 날짜와 기간을 정하는 과정에서 형식문제도 논의하는데, 회담이 열리기 전에 구체적으로 논의할지, 일단 회담을 열어서 효과적인 형식을 채택할지 조금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6자회담 틀 안에서 주요 당사자인 북-미 양자회담의 기회를 대폭 늘리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어 주목된다.
한편 정부는 북한이 핵 폐기 공약과 함께 사찰에 돌입하는 순간부터 에너지 및 경제지원 등 조율된 상응 조치에 들어가는 동시에 잠정적인 안보보장을 하고, 북한의 모든 조치가 끝나는 순간 대규모 지원과 함께 영구적인 다자차원의 안전보장을 제공할 방침을 세워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6자회담 복귀 발표에 대해 미국과 중국·일본·러시아 등 다른 참가국들도 일제히 환영 논평을 내고 제4차 6자회담에서 북핵 문제의 실질적 진전이 있어야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데이너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은 9일"북한이 한반도 비핵화를 다짐하며 6자회담에 돌아올 것이라는 데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며"우리는 6자회담에서 그 목표를 향한 진전을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북한도 10일 외무성 대변인 답변을 통해"우리는 6자회담이 다시 열리는 그 자체도 중요하지만 근본은 조선반도의 비핵화를 실현하는 데서 나서는 방도적 문제들이 회담에서 심도있게 논의되어 실질적인 진전을 이룩하는 것"이라며"우리는 이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