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또 다시 고강도 부동산 규제 대책을 내놓았다. 땅값 상승 우려가 있는 지역을 모두 토지 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한다는 것이다. 최근 급등 조짐을 보이고 있는 토지 시장을 안정화시키는 게 목적이다. 하지만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달아오른 부동산 열풍을 식히기에는 역부족이다.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저금리 정책을 지속적으로 펴고 있다. 그런데도 경기는 되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장기 불황의 그림자만 짙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갈 곳을 잃은 수백조 원의 시중 자금이 부동산으로 몰리고, 정부는 규제를 반복하는 양상이 되풀이되고 있는 실정이다.
올 들어 땅값이 급등한 지역은 충남 연기'공주 등 행정중심도시와 기업도시 신청 지역이었으나 최근엔 수도권과 대구'부산'울산 등 전국 주요 도시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개발 사업 추진 지역뿐 아니라 주변 지역까지 토지 거래 허가구역으로 묶어 땅값 상승을 억제한다고 한다. 또 허가구역 지정 지역 중 땅값 상승세가 지속된 곳은 곧바로 양도소득세를 실거래가로 과세하는 투기지역으로 지정키로 했다.
현재 토지 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전 국토의 15%를 넘는다. 따라서 이번 조치로 허가구역이 더욱 늘어나 전국을 토지 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해야 할 판이다. 부동산 자산 거품의 위험을 경고하고 고강도 규제책을 발표해도 부동산 시장은 더욱 과열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부가 그토록 자신했던 부동산 정책은 실패했다는 얘기다. 정부가 부동산 문제보다 경기 회복에 더 큰 부담을 가진 것으로 시장이 판단하는 한, 어떠한 부동산 정책도 약발이 듣지 않는다. 부동산과 저금리 정책 등 거시경제 정책 전반을 재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