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반야월 택지지구지정은 재고되어야 한다

입력 2005-03-25 09:36:00

대구시 동구 반야월 지역을 서둘러 택지지구로 지정하려는 대구시의 방침이 몹시 우려스럽다.

반야월지역 그린벨트 132만 평을 동서로 조금 더 확장하면 200만 평 이상의 토지 확보가 가능하다.

더욱이 대구공항과 동대구역, 경부고속도로, 대구∼포항고속도로, 대구∼부산고속도로, 대구 순환고속화도로가 관통하며, 구미와 포항, 그리고 경산 영천 경주와 인접한 광역도시권적 관점에서 볼 때 하나의 도시공동체를 이루는 지역이다.

이런 뛰어난 공간적 가치를 지닌 곳은 단순 택지가 아니라, 지식기반신도시 또는 혁신 신산업 클러스터로 개발되어야 한다.

2년 전 양성자가속기 기반시설단지를 유치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노력이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원전센터)과 병합 추진하겠다는 정부의 정책혼선 때문에 무산되기는 했다.

그러나 반야월 지역이 당시 최적지로 평가되었다는 것은 공공연하게 알려진 사실이다.

다행스럽게도, 우여곡절을 겪은 정부는 원전센터와 양성자가속기사업을 분리 추진하겠다는 내부 방침을 정했다는 소식이다.

애당초 이 두 사업을 한 지역에 유치 발전시키기엔 한계가 있었다.

임해형 사업인 원전수거물 사업과 첨단 도시형 사업인 양성자가속기 사업은 당연히 공간 배치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가장 많은 원전을 안고 있는 경북의 동해안 울진과 경주 월성에는 10기가 가동 중이며 건설 예정인 원전이 6기나 된다.

현재 발생되는 중·저준위 방폐물뿐만 아니라 고준위 방폐물까지 고스란히 안고 있는 실정이다.

위험정도가 경미한 중·저준위 방폐장을 유치하는 지역에만 큰 혜택이 약속된다면 모순이 아닐 수 없다.

이미 존재하는 방폐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면서 또 지역발전의 계기로 삼을 수 있도록 경북은 원전수거물 관리시설을 주민이 원하는 지역에 적극 유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대구시 또한 양성자가속기 기반사업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함으로써 대구-경북 상생의 틀로 삼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토지공사에게 현풍 테크노폴리스 조성시 발생할 손실비용을 보전해주기 위해 최적의 양성자가속기 후보지로 평가받은 반야월 지역을 택지지구로 지정하려는 대구시의 계획은 재고되어야 마땅하다.

132만 평 중 고작 7만 평에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는 안은 속임수에 불과하다.

40만 평 정도의 택지개발과 100만 평 정도의 혁신산업단지조성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만약 택지지구 지정으로 양성자가속기를 유치할 적지를 잃어버릴 때 초래할 지역의 손실을 어떻게 보전하겠는가? 대구시는 물론 토공도 이 문제만큼은 신중하게 재검토해야 한다.

임대윤 전(前) 대구 동구청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