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이전 문제가 정치권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국회에서 협의해 처리해야 하지만 거대 정당들이 서로 눈치만 보고 미루는 것. 공공기관 이전 문제가 각 지역간 갈등을 부추길 수 있고, 다른 지역과 비교해 좋지 않은 기관을 유치한 지역들로부터 집중 포화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사실 한전이나 도공 등 매머드급 기관과 다른 공기업을 비교하면 그 규모와 파급효과 면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열린우리당은 현 정권의 공약을 여당이 방치하고만 있을 수는 없어 여야 협의와 공공기관 이전문제를 다룰 '행정수도 후속대책 및 지역균형발전 특위' 활동 재개를 연일 야당에 촉구하고 있다.
정부·여당의 단독처리는 부담이 되는 만큼 어떻게든 야당을 협상의 테이블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계산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비난여론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부·여당의 짐을 나눠 메지 않겠다며 한 발짝도 움직이지 않고 있다.
박근혜 대표는 방미기간 중 "공공기관 이전은 국회에서 법을 만들어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며 "감시자로서의 역할만 하겠다"고 밝혔다.
협조는 없으며, 잘못될 경우 비판에 앞장서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는 "한나라당에 이익이 될 수 있게 조정한다면 협상을 굳이 피할 일도 아니다"는 '실용론'이 확산되고 있어 당내 논의의 방향이 어떻게 진행될지 주목된다.
박상전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