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 빌딩' 있으나 마나

입력 2005-03-02 11:08:21

인근 이면도로 불법주차 '빼곡'

대형 건물의 기계식 주차장이 관리 소홀과 이용 기피로 녹슬고 있다. 건물주는 일정 규모의 주차시설을 갖춰야 건물 사용승인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부지매입 부담이 없는 기계식 주차장을 설치만 해놓고 곧바로 폐쇄해 버리기 일쑤다. 때문에 큰 건물 인근 이면도로에는 불법주차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 28일 오후 4시쯤 대구시 북구의 한 대형 건물. 목욕탕과 은행, 학원 등 다중 이용시설이 들어서 있는 이 건물에는 차량 34대분의 기계식 주차타워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아예 사용을 하지 않고 있었다. 주차 관리원은 옥외 주차장으로 운전자를 안내했고 이 바람에 차량들은 인도까지 어지럽게 차지했다.

인근 다른 건물도 마찬가지. 기계식 주차시설은 3, 4대의 차량이 가로막고 있어 이용이 불가능했다.이 건물에 사무실을 둔 김모(36)씨는 "기계식 주차시설은 전기료 등 운영비가 많이 들어 아예 잠가놓고 있다"며 "대신 주차할 공간이 마땅찮아 외부 차량이 올 경우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심지어 주차장 진입구에 용접으로 잠금 열쇠까지 달아 이용을 막고 있는 건물도 있었다. 일부에서는 관리의 어려움을 들어 2단인 시설을 1단으로 접어 사용하고 있었다.이같은 현상은 당초부터 이들 주차장이 대부분 '건축 허가용'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기계식 주차장은 일반 자주식(노면) 주자창에 비해 초기 건축비용이 적게 들고 법정 주차면적을 확보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당국은 인력부족으로 상시 단속이 어려운데다 2, 3년마다 안전 정기점검만 받으면 단속할 근거가 없어 손을 놓고 있다.

기계식 주차장은 대구시내 1천595곳에 2만1천761면이 있다.

최두성기자 dschoi@imaeil.com 사진:이채근기자 mincho@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