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건물관리 서울 업체 독식, 지역 업체 영세 가중

입력 2005-02-25 17:58:38

막대한 수수료가 발생하는 대구시내 대형건물과 시설물의 관리업무를 외지 업체들이 독식하고 있다.

대형시설물 측은 노하우, 자본력, 전문인력 등을 내세워 외지업체 위탁의 불가피성을 주장하지만 대구업체들은 '지역 배려'를 호소하고 있다.

개장을 앞둔 지하철 2호선 구간 지하 대형상가들의 경우 가장 대형(2만3천여 평)인 반월당 '메트로센터'는 서울에 연고를 둔 ㄷ업체가 지난 1월 각 점포의 전기·수도, 소방안전, 청소·경비 등 종합 시설 관리계약을 체결했다

오는 5월 개장 예정인 메트로센터는 상가만 400여 개에 달해 삼성에 모태를 둔 이 업체는 주차장을 제외한 순수 상가 시설관리만 월 8천만 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류역 '두류 1번가(상가 400여 개·8천여 평)'는 구 대우 계열사로 알려진 ㅁ업체가 맡았다.

이 업체 관계자는 "월 용역비는 5천500만~6천만 원가량이 될 것"이라며 "영세한 지역업체가 많다보니 상대적으로 사업실적이 높은 중앙업체가 선정된 것 같다"고 말했다.

봉산육거리 '메트로프라자(상가 138곳 3천500여 평)'는 현재 서울업체와 지역업체가 시설관리계약을 따내기 위해 막판 경쟁하고 있다.

중구 동양생명빌딩, 교보빌딩, 삼성금융플라자 등 금융건물을 비롯한 대부분의 고층 건물 관리를 외지 종합시설물 관리업체가 맡고 있다.

일부 공공건물도 사정이 비슷하다.

대구지검·고검은 2001년 신관 건축 이후 연간 3억6천만 원이 드는 청사관리를 서울지역 업체에 맡기고 있다.

대구전시컨벤션센터의 시설관리는 서울과 대구업체 2곳에서 공동으로 맡고 있다.

전시컨벤션센터의 경우 회의, 전시회 등 각종 행사가 연중 열려 1년 시설관리비만 13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시설물관리 업계는 "회사 매출액, 자본규모, 도급실적 등 외형적인 기준만 따진다면 영세한 지역업체들은 살아남기 힘들다"며 "대구시가 대형 시설관리업체 선정시 '지역업체 의무할당 공동도급제'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