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설·혹한·강풍…전국이 '꽁꽁'

입력 2005-02-02 08:25:59

입춘을 사흘 앞둔 1일 전국에 혹한과 폭설,

강풍이 몰아쳐 피해가 속출했다.

개학을 맞은 초.중학교에 휴교령이 내려지고 수도관 동파와 양식장 물고기 폐사

가 잇따랐다.

육상과 뱃길, 항공편이 통제되거나 무더기 결항.취소되는 등 이용객들이 큰 불

편을 겪었다.

특히 제주지역은 육지로 나오는 모든 교통수단이 단절돼 한때 사실상 고립상태

에 놓였다.

광주와 전남.북 내륙지역에 대설경보가 발효중인 가운데 이날 오후 10시 현재

전북 정읍 24cm를 비롯해 전남 장성 23㎝, 광주 21㎝ 등 광주와 전남북 내륙지역에

10㎝가 넘는 폭설이 쏟아졌다.

또 초속 10m가 넘는 강풍까지 몰아쳐 체감온도가 뚝 떨어지고 빙판길 교통사고

가 잇따랐다.

▲휴교령

10여년만에 쏟아진 폭설로 이날 개학 예정이었던 광주 중앙초교와 금호중 등 광

주지역 초.중학교 24곳이 임시 휴교에 들어갔으며 이 가운데 22곳은 2일까지 임시휴

교 하기로 결정했다.

광주시교육청이 폭설로 휴교를 결정한 것은 지난 87년 개청이래 처음이다.

제주도도 이날 개학 예정이던 남제주군 표선면 토산초등교 등 초등학교 2곳이

학교장 재량으로 임시 휴교했다.

또 북제주군 애월읍 광령초등교는 폭설과 한파가 지속될 경우 학생들의 버스통

학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2일 임시 휴교할 예정이다.

▲어패류.수도관 피해

영하 10도를 오르내리는 강추위로 충남 서해안에서는 양식어류가 폐사하는 등

한파 피해가 잇따랐다.

태안군 근흥면 용신리 명 모(42)씨 소유의 양식장에서 기르던 숭어 50만마리가

한파로 폐사, 5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또 근흥면 G횟집과 소원면 H횟집 등 태안지역 바닷가 횟집 수족관에 보관중이

던 숭어와 광어 등 각종 어류도 얼어죽는 등 태안군 일대에서 2만여마리가 폐사했다.

영하 20도 이하로 떨어진 강원도 춘천지역 등에서는 수퍼마켓에 보관중인 막걸

리가 얼어 터지는 등 한파 피해가 속출했다.

전북 정읍과 충북 충주.제천지역 등에서는 수도관 동파가 잇따라 200여건이 각

시 군 상수도본부 등에 접수됐다.

▲교통통제

폭설에 혹한까지 겹치면서 내린 눈이 얼어붙어 광주 무등산장 길과 지리산 성삼

재, 지리산 정령치 구간, 뱀사골 달궁∼백무동간 교통이 전면 통제됐다.

이 때문에 광주 시내버스 운행시간이 평소보다 1시간 가량 줄어 귀가길 시민들

의 불편이 가중됐다.

대구시 달성군 가창댐에서 헐티재까지 12km구간과 동구 파계사 삼거리에서 동화

사까지 10km 구간 등 경북지역에서 7개 구간의 교통이 통제됐다.

또 광주 무등산과 정읍 내장산, 남원 지리산, 무주 덕유산 등 전국 주요 산에서

는 등산객의 입산이 전면 금지됐다.

▲하늘길 마비

남부 지방에 강풍과 함께 많은 눈이 내리면서 서울과 지방을 오가는 항공편이

무더기로 결항했다.

오전 6시45분 출발 예정이던 김포발 제주행 대한항공 KE1203편이 결항한 것을

시작으로 서울-제주 76편, 서울-광주 19편 등 광주와 목포, 여수, 포항 등 전국 6개

지방공항을 오가는 항공기 112편 운항이 취소됐다.

인천국제공항은 일본 요나고와 니가타 지방의 폭설로 인해 요나고행 왕복 2편이

각각 결항하는 등 총 4편의 운항이 중단됐다.

제주와 광주 기점 노선의 항공편 운항은 2일 오전께나 정상화될 전망이다.

▲뱃길 두절

전남 대흑산도와 홍도 등에 강풍경보가 내려진 것을 비롯 전남.북 모든 해안에

는 강풍주의보가 발효된 가운데 전남 목포, 여수, 완도 등 섬 지역을 운항하는 여객

선과 어선들의 운항도 전면 통제됐다.

또 서해남부 전해상에 내려진 풍랑주의보로 군산과 격포 등 전북지역 항.포구

에서 섬으로 향하는 서해안 뱃길이 모두 끊겼다.

▲재해상황실 운영 및 농작물 관리

전국 각 시도는 재해대책본부 상황실을 운영하는 한편 재해 관련 공무원들의 비

상 근무를 지시했다.

각 시도 농업기술원은 폭설과 한파로 인한 시설작물 등 농작물 피해 예방을 위

해 쌓인 눈 제거, 배수로 관리 등 시설물 관리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또 작물에 따라 시설하우스내 온도를 영상 8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등 난방

관리에 철저를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