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14개 기차역 단계폐쇄"

입력 2005-01-08 10:08:00

철도공사 6월 최종확정

한국철도공사가 교통개발연구원에 의뢰해 작성한 보고서는 전국 635개 역사 중에서 폐쇄대상 역사 104곳, 역종 변환 95곳, 열차운행 감소 109곳을 선정했다.

대구·경북에서는 폐쇄대상 14곳, 역종변환 27곳, 열차감소 운행 10곳 등 운영변경 대상 역사가 총 51곳이다.

▲역사운영 체계 변화

한국철도공사가 적자를 내는 역의 운영합리화를 위해 용역보고서 원안대로 정책을 입안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지역내 역사 운영도 대폭 변화될 전망이다.

폐쇄 대상 역사는 인근지역의 관광 개발 가능성이 없고 비용절감이 불가능한 지역이다.

또 열차운행 횟수도 적어 운행횟수 감소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지역도 포함된다.

이들 역사는 전면 폐쇄될 예정이며 한 노선의 모든 역사가 이 같은 수준이라면 노선 자체를 폐지하는 방안까지도 검토되고 있다.

역종 변환 대상 역사는 관광개발이 용이하지 않으나 주요역으로 분류돼 관리인력과 국고보조가 과다하게 투입되는 역사를 뜻한다.

이런 역사에 대해서는 관리 인력을 대폭 줄이거나 아예 무인역으로 하는 대안이 제시된다.

이렇게 될 경우 시스템 자동화와 전자제어 시스템 등이 도입된다.

열차운행횟수 감소 대상 역사는 개발 여건은 상대적으로 좋으나 운행횟수가 실제 이용률보다 높은 곳이다.

보고서는 전문가들을 상대로 운행횟수 감소폭에 대해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50% 감소에 찬성하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수용한다는 계획이다.

철도공사 측은 오는 2020년까지 이 방안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적자역 운영합리화 방안 자체가 강도 높은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만큼 현행 시스템이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된 역사는 대대적인 변화를 맞게 될 것이란 게 중론이다.

▲전망

공사 측이 보고서 원안대로 정책 입안할 의지를 강하게 갖고 있어 실현화 가능성은 높아 보인다.

보고서 또한 '일시에 적자역 전부를 폐지할 경우 효과가 가장 크다'고 명시할 정도로 강경한 입장을 권하고 있다.

또 최근 철도청이 국가 산하기관(한국철도공사)으로 체제변환을 이룸으로써 공익보다는 영업이익에 치중하고 있는 현상도 적자역사 구조조정 계획의 실현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공사 측은 보고서 내용을 '정부와 철도운영자 간의 정책적 판단의 지표로 의의가 크다'며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해당 역사 인근 주민들의 반발에 대해서는 부담을 갖고 있다.

대다수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적잖다고 한다.

하지만 공사 측은 '단계적 합리화 방안의 시나리오'를 만들어 관철시킨다는 입장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