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를 마감하는 年末에 가지는 모임을 흔히 '忘年會(망년회)'라고 부르는데, 이는 일본에서 가져온 한자 어휘이다. '忘年會'는 말 그대로 '한 해를 잊는다'는 의미로 새로운 것에 대한 *希望(희망)이 부족해 보인다. 그래서 요즘은 忘年會라는 말보다는 '送年會(송년회)'라는 말을 많이 쓰고 있다. 送年은 '한 해를 보낸다'는 뜻으로 送舊迎新(송구영신)과 맥을 함께 한다. 送舊迎新은 '옛 것[舊]을 보내고[送], 새 것[新]을 맞는다[迎]'는 의미로 다음 해에 대한 계획과 설계가 모두 *包含(포함)된 미래 *指向(지향)적인 意志가 담겨 있는 말이다. 그러므로 먹고 마시며 한 해를 잊어버리기보다는 차분히 한 해를 뒤돌아보고 다음 해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새해를 준비하는 자세이지 않을까.
새해의 처음을 알리는 것이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이다. 설이 되면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마음이 설레게 마련이지만, 설이라는 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설의 語源에 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알아보자.
고려 시대 승려 일연이 *編纂(편찬)한 '三國遺事(삼국유사)'에서는 정월 초를 '근심이 있고[?] 슬프다[?]'라는 뜻의 '??(달도)'라고 하였다. 이 '서럽다', '슬프다'라는 뜻에서 '설'이 나왔다고 한다. 또 새해가 되면 새로운 것이 낯설기 때문에 '낯설다'라는 뜻에서 '설'이 나왔다고도 한다. 설이 되면 한 살 더 먹게 되는데 이 때 '살'은 '설'에서 나왔다고 한다. 즉 원래는 '몇 설이 되었나'라는 말이 '몇 살이 되었나'라는 말로 변한 것이다.
설은 한자로 '元旦(원단)'이라고 한다. 元은 으뜸이라는 뜻으로 옆으로 선 사람의 모양이고, 旦은 지평선 위에 해가 떠오르는 모습을 본뜬 것이다. 우리가 일출을 보며 새해를 맞이하는 것도 이 '元旦'의 語源에서 나온 것이다. 그런데 旦이라는 글자는 옛 중국의 *聖人(성인)인 周公(주공)의 이름이기도 하며, 조선 왕조 태조 이성계의 첫 이름이기도 하여 원단이라는 말을 함부로 쓰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럴 경우에 旦과 비슷한 의미인 朝(아침 조)를 써서 '元朝(원조)'라고 쓰기도 한다. 여기서 元朝는 우리가 식당 간판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元祖(원조)'와는 다른 말이다. 元祖는 어떤 일을 처음으로 시작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元旦의 또 다른 말로는 '元日(원일)', '愼日(신일)'이 있다. 설이란 그저 기쁜 날이라기보다 한 해가 시작된다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매우 뜻 깊은 명절로 여겨왔다. 그래서 설날을 愼日[삼가는 날]이라고 해서 이날에는 바깥에 나가는 것을 삼가고 집안에서 지내면서 일 년 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낼 수 있게 해주기를 신에게 빌어 왔다.
설날 아침 어른들께 歲拜(세배)를 올린다. 새해 첫 인사를 한다는 의미에서 歲[해 세]와 拜[절 배]를 써 歲拜라고 한다. 집안 어른께 歲拜를 한 후 떡국으로 아침 식사를 하고, 일가친척이나 이웃 어른들께 歲拜를 드린다. 歲拜를 할 때에는 새해 첫날을 맞아서 서로의 행복을 빌고 축복해 주는 '德談(덕담)'을 주고받는다. 德談은 '잘 되기를 비는 말'이란 뜻으로 보통 "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라는 말을 많이 한다. 그런데 이 말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하는 말로는 *適合(적합)하지 않다. "새해에는 *健康(건강)하십시오"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설은 새해의 시작이며, 묵은해를 정리하여 떨쳐버리고 새로운 계획과 다짐으로 새 출발을 하는 첫날이다. 가족들과 함께 2004년 한 해를 마무리하고, 다가올 2005년 새해를 희망차게 맞이해 보자.
자료제공 : 장원교육 한자연구팀
* 希望(바랄 희, 바랄 망) : 이루거나 얻고자 기대하고 바람
* 指向(가리킬지, 향할 향) : 일정한 목표를 정하여 나아감, 또는 나아가는 그 방향
* 除夜(덜 제, 밤 야) : 除夕이라고 하며, 섣달 그믐밤
* 編纂(엮을 편, 모을 찬) : 여러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책을 만들어 냄
* 聖人(성스러울 성, 사람 인) : 지덕이 뛰어나 세인의 모범으로서 숭상받을 만한 사람
* 適合(맞을 적, 합할 합) : 꼭 알맞음
* 健康(튼튼할 건, 편안할 강) : 몸과 마음이 다부지고 굳셈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