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지역 정치권에선 '진성당원(기간당원)'이란 말이 심심찮게 화두가 되고 있다.
'당내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당비도 꼬박꼬박 내는 진짜 당원' 쯤으로 풀이된다.
이 말이 주목을 받게 된 것은 여야 할 것 없이 당내 민주화를 지상과제로 꼽고 있는 정치권 추세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즉 진성 당원을 확보함으로써 이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당내 민주화, 궁극적으론 지지기반을 넓혀 나가겠다는 의도가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우리 정치사에서는 당원 숫자가 수백만 명이 된다는 당도 있었다.
하지만 이들 당원 중 대부분은 선거철에 주변사람들에 이끌려 입당했던 탓에 소속당과의 일체감은 갖기 어려워 진성당원이라고 꼽을 수 있는 규모는 소수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여·야는 내년 봄 재·보선을 시작으로 잇따를 각종 선거 정국이 당의 명운을 가를 것이란 판단 아래 전국 시·도당을 앞세워 진성당원 확보에 전력을 쏟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노력이 당초 의도했던 만큼의 성과를 실제로 이끌어낼 수 있을지는 또 다른 문제이다.
우선, 진성당원으로 갖은 고생을 해도 돌아오는 게 없었다는 과거 체험에서 비롯된 불신감이 팽배해 있는 것이다.
정치권의 최대 이벤트인 선거 때만 해도 그렇다.
평소 당원으로 활동해 온 인사들 중 상당수는 후보 명함도 내지 못한 채 씁쓸하게 뒤로 밀려나야 되고, 대신에 중앙당 지도부의 의중이 실린 낙하산 인사들, 심지어 비당원 출신까지 대거 공천을 받아왔던 것이다.
실례로 지역출신의 한 유력 인사는 선거를 1년여 앞두고 입당, 당원으로 적극 활동하면서 출마의지를 다졌으나 무소속 단체장이 막판에 입당하는 바람에 공천에서 밀려났었다.
그는 그 다음 선거에선 중앙당에서 보낸 낙하산 인사 때문에 또다시 출마를 포기해야 했다.
지난 대선정국을 앞두고 급부상했던 국민경선제 역시 갖은 명분으로 포장되는 바람에 당시엔 누구도 거스를 수 없을 만큼 기세등등했지만 진성당원을 통한 당내 민주화 노력엔 역행했다고 볼 수 있다.
자기 당 후보를 뽑는 자리임에도 비당원인 일반 국민을 선거인단에 포함시켜야 하는 바람에 정작 당원들은 배제시키고 것은 진성당원제와는 모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진성당원' 양성 의지가 궁극적으론 당 지지기반 확대를 겨냥하고 있으나 아이러니컬하게도 선거에서 이겨야 한다는 당략 앞에선 맥을 못 추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상황에선 당 지도부가 아무리 진성당원을 외친다고 한들, 일반 당원들에겐 한낱 우스갯소리로 들리기 십상인 것이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