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구미·대구 잇는 발전축 구축" 지역발전 토론회

입력 2004-11-27 10:52:12

26일 대구 그랜드 호텔에서 산학경영기술연구원과 국토정책 포럼 주최로 열린 '수도이전 대안과 지역발전'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수도이전 특별법 위헌 판결 이후 대구·경북 지역의 발전 방안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

특히 제 1주제발표를 맡은 유우익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는 "수도이전을 통한 지역 균형발전은 치러야 할 대가가 너무 크며 경쟁력의 감퇴와 성장의 둔화를 가져올 뿐"이라고 일축하고 "대구는 스스로의 자생력을 키워 '잊어져가는 도시'의 이미지를 탈피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교수는 대구·경북의 침체에 대해 "해양 지향의 세계화 시대에 '내륙중심도시'는 산업의 입지와 교역에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하며 "강한 내부결속력과 특유의 공동체적 윤리관은 '폐쇄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지도층이 자만과 안일에 빠져 시대적 변화에 기민하게 적응하지 못했다"고 일침을 가했다.

대구·경북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 교수는 "포항-대구-구미를 잇는 발전축을 구축해 항구와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공항의 국제노선을 확대하며 '선비정신'의 정신문화적 자산을 토대로 한 비전과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유 교수는 "경제는 안정의 구조 위에서만 제대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일관된 원칙을 갖고 균형발전을 추진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했다.

한편 최만기 산학경영기술연구원 원장은 '대구경북 지역발전 대안 모형'이란 제목의 제 2주제발표를 통해 "대구·경북의 발전을 위해서는 스스로 발전전략을 수립·실행하는 유연전문화 모형이 적합하다"고 제시했다.

한윤조기자 cgdream@imaeil.com

최신 기사